오관산 영통사 ( )

목차
관련 정보
개성 영통사 전경
개성 영통사 전경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영남면 오관산 영통동(靈通洞)에 있는 고려전기에 창건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영남면 오관산 영통동(靈通洞)에 있는 고려전기에 창건된 사찰.
내용

1027년(현종 18)에 창건하였으며, 1036년(정종 2)에 왕이 자식 넷이 있을 경우에는 한 자식의 출가를 허락한다는 법을 제정한 뒤 이 절에 계단(戒壇)을 설치하고 경률(經律)을 익히는 한편 시험을 치르는 장소로 만들었다.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1065년(문종 19)에 내전(內殿)에서 경덕국사(景德國師)로부터 계를 받고 삭발하여 출가한 후 경덕국사를 따라 영통사로 옮겨 수학하였다. 그의 입적 후인 1125년(인조 3)에는 비를 이 절에 건립하였다. 고려 왕실에서는 다른 어떤 사찰보다 이 절에서 많은 참배를 갖게 되었다.

인종을 비롯하여 영종 · 신종 · 충렬왕 · 충선왕 · 공민왕 등은 자주 이 절에 행차하여 분향하였을 뿐 아니라 이 절과 인연이 깊은 왕들의 진영(眞影)을 모신 진영각을 두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절에서는 왕실에서 주관하여 재(齋)나 기신도량(忌晨道場)이 많이 개설되었다.

특히 인종은 이 절을 크게 사모하여 그 어느 왕보다 자주 행향(行香)하였는데, 1146년 정월에는 화엄회(華嚴會)를 열게 하고 친히 지은 불소(佛疏)를 신하들 앞에서 설하였다.

문화유산으로는 대각국사비명(大覺國師碑銘)을 비롯하여 서삼층석탑(西三層石塔)과 동삼층석탑 등이 있다. 또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이 절에는 고려 문종의 화상과 홍자번(洪自藩)의 화상이 있었다고 하며, 서루(西樓)의 경치는 송도에서 제일이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이 절을 대상으로 읊은 이규보(李奎報) · 김구용(金九容) · 변계량(卞季良) · 석월창(釋月窓) · 권근(權近) · 이원(李原) · 성임(成任) · 이승소(李承召) 등의 시가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

1901년 5월 화재로 사찰이 전소(全燒)되었다. 이후 2002년 11월 대한민국의 대한불교천태종 교단과 북한의 조선경제협력위원회가 함께 복원사업에 착수하여 2005년 10월 2만여 평의 부지에 29개의 전각을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북한의 전통사찰』5(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편, 2011)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