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당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도한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도한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증손 명응(命應)과 현손 상엽(尙曄)이 편집하고, 1907년 8대손 홍모(弘模)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룡(張錫龍)의 서문과 권말에 종8대손 원상(元相)의 후서(後敍), 장승택(張升澤)의 발문 등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18수, 제문 4편, 묘지 1편, 잡저 2편, 설(說)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제문·가장(家狀)·가장후지(家狀後識)·묘갈명·실기(實記)·유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자신의 감정을 사실적 필치로 묘사한 「오동(梧桐)」·「동림월야(桐林月夜)」·「우음(偶吟)」·「제입암(題立巖)」·「제도고산(題道古山)」 등과 정우·박진구(朴震耉)·이달천(李達天) 등에게 주는 증여시(贈與詩)를 비롯하여 이주·배상룡(裵尙龍)·장이유(張以兪)·이수성(李壽星)·여효증·도신여(都愼與) 등을 대상으로 지은 만시 등이 있다.

잡저 가운데 「작소동경모재문(作所洞敬慕齋文)」·「경모재완의(敬慕齋完議)」 등은 저자가 선조의 사당과 그 제사를 위한 전답 등을 마련하고 후손들에게 정성껏 보살펴 대대로 전해줄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그밖에 「내문명의설(乃文名議說)」 등이 실려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