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경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여자들의 월경불순에 사용하는 처방. 조경산 · 대온경탕 · 천금조경탕.
이칭
이칭
조경산(調經散), 대온경탕(大溫經湯),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여자들의 월경불순에 사용하는 처방. 조경산 · 대온경탕 · 천금조경탕.
내용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東醫寶鑑)』내경편(內景篇)의 포(胞)항목, 『방약합편(方藥合編)』등 여러 의서에 실려 있다. 조경산(調經散)이라고도 하며, 일명 대온경탕(大溫經湯)·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이라고도 한다.

처방의 구성과 용량은 『금궤요략방론(金匱要略方論)』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약합편』과 큰 차이가 있으나, 후자는 맥문동 7.5∼8.0g, 당귀 5.5∼6.0g, 인삼·반하(半夏)·백작약·천궁·목단피(牧丹皮) 각 3.7∼4.0g, 아교주(阿膠珠)·감초 각 3.0g, 오수유(吳茱萸)·육계(肉桂, 또는 桂皮) 각 2.0∼2.5g, 생강 3쪽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허(氣虛)에는 인삼을 증량하고 필요시 부자를 가한다.

치월후부조(治月候不調), 즉 월경불순에 효과가 있다 하였는 바, 임맥(任脈: 몸의 앞 정중선에 분포된 경맥)과 충맥(衝脈: 자궁에서 시작하여 척주를 따라 올라가는 경맥)이 허손(虛損)하여 월경이 고르지 못할 때 쓰이는 대표적 처방이다.

그밖에도 월경이 적거나 많을 때, 또는 자주 유산을 하여 어혈이 체내에 머물러 있거나 입과 입술이 마르고 수태(受胎)하지 못하는 데 많이 쓰인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방약합편(方藥合編)』
『중경전서(仲景全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