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모대가무 ()

목차
무용
작품
고려 문종 때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목차
정의
고려 문종 때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내용

고려 문종 때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고려사≫에 의하면, 1077년(문종 31) 2월 연등회에 임금이 중광전(重光殿)에 나아가 음악을 감상할 때 교방여제자(敎坊女弟子) 초영(楚英)이 처음으로 추었다고 한다.

일대(一隊)는 55명이고, 춤은 네 글자[四字]로 이루어지는데, ‘군왕만세(君王萬歲)’, 혹은 ‘천하태평(天下太平)’을 만들어가며 춘다. 현재의 매스게임과 같은 성격을 띤 궁중무용이다. 1074년 이후 송나라에서 들어온 포구락(抛毬樂)·답사행가무(踏沙行歌舞)·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 등과 함께 들어온 춤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당악(唐樂)연구』(차주환, 범학도서, 1976)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