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두신설 ()

목차
관련 정보
우두신설
우두신설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사 · 학자 지석영이 종두법에 관하여 저술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사 · 학자 지석영이 종두법에 관하여 저술한 의서.
내용

2권 1책. 활자본. 우리나라 최초의 종두서(種痘書)이다. 상·하 두 권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은 지석영이 오랫동안 경험해온 지식을 종합하여 간행하였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및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상권의 서두에 김홍집(金弘集)·이도재(李道宰)의 서(序) 및 저자의 서가 있고, 그 다음에는 영국 의사 제너(Jenner, E.)의 『우두고(牛痘考)』·『우두속고(牛痘續稿)』, 햅슨(Habson)의 『종두론』과 『만국공보』에 소개된 『우두내력』 등을 기재하였다.

그밖에도 청나라 가경(嘉慶) 22년(1817) 남해구희(南海邱熺)의 「인두약서(引痘藥序)」, 청나라 도광(道光) 8년(1828) 『인두략(引痘略)』을 중간(重刊)한 회망언(會望彦)의 서(序), 조난정(趙蘭亭)의 『증보우두삼요(增補牛痘三要)』 서문 등을 수록하였다.

특히, 하권에는 실기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소아접종법(小兒接種法)·진두가두(眞痘假痘)·종두중금기·소아두장채취법·두묘제조(痘苗製造) 및 축장법(蓄藏法), 채두가수장법(採痘痂收藏法)·독우종두(犢牛種痘) 및 경과, 독우채장법·독우사육법·방약(方藥) 등을 기술하고, 그밖에도 계우상도(繫牛床圖) 및 종두기구류도가 실려 있다.

이와 같이 제너의 우두종법 발견으로부터 이 법(法)의 한역서의 소개, 우두의 시종(施種)·치료 또는 두묘(痘苗)의 제조와 종우(種牛)의 사양법(飼養法)에 이르기까지 모든 방법을 간명히 서술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김두종, 탐구당, 197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