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롱 ()

목차
관련 정보
삼죽금보 / 우롱
삼죽금보 / 우롱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하나.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하나.
내용

반우반계(半羽半界)로 된 반엽(半葉)에서 파생되었다. 반엽은 평조선법인 우조(羽調)로 부르다가 중여음(中餘音)에서 계면조(界面調)로 변조하여 계면조 초수대엽(初數大葉)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우락(羽樂)으로 껑충 뛰어 진행할 때 반엽은 중간에서 변조하지 않고 끝까지 우조로 부른다. 이와 같이 반엽을 순 우조로 부르는 것을 우롱이라 한다.

여창 가곡에는 없고 남창에만 있다. 음계는 황(黃)·태(太)·중(仲)·임(林)·남(南) 5음의 평조선법으로 된 우조이고 종지음은 탁태주(濁太簇)이다. 5장과 중여음·대여음으로 된 형식에 10점(點) 16박(拍)의 기본 가곡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시조시를 노랫말로 사용한다.

다음과 같은 하규일(河圭一) 전창(傳唱)고 있다. (초장) 3월 3일 이백도홍(李白桃紅), (2장) 9월 9일 황국단풍(黃菊丹楓), (3장) 청렴(靑帘)에 술이 익고 동정(洞庭)에 추월(秋月)인저, (4장) 백옥배(白玉盃), (5장) 죽엽주(竹葉酒) 가지고 완월장취(翫月長醉)허리.

태평가를 제외한 보통의 다른 가곡들처럼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젓대·세피리·가야금·해금·장구 등의 관현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의 연주형태이다. 전주로 대여음을 사용하고, 대개 1분 50정간(井間)의 한배이다.

연주순서는 우조 소용(騷聳)까지 부른 뒤 우롱을 부른 다음, 계면조의 계락(界樂)까지를 생략하고 바로 우락·언락(言樂)으로 진행한다.

『가곡원류』에는 곡태(曲態)를 “맑은 개울에 비단을 빨 듯이 넘실넘실 거리낌없다(浣紗淸川逐浪翻覆).”고 하였다. 즉, 곱고도 흥청거리는 기분을 가진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일사금보(一蓑琴譜)』 등이 있다.

참고문헌

「가곡(歌曲)의 연구(硏究)」(장사훈, 『한국음악연구』 5, 한국국악학회, 197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