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우조타령(別羽調打令)이라고도 한다.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중「유예지(遊藝志)」에는 악보없이 설명만 있고, 『서금보(西琴譜)』·『희유(羲遺)』 등에도 우조타령의 악보가 전한다.
우조타령은 「영산회상」 중의 타령이 계면조인 데 대하여 우조(羽調 : 平調), 즉 평조선법으로 된 곡조이다. 국립국악원에서 현재 연주되고 있는 우조타령은 대(竹)풍류로만 연주하고, 거문고·가야금·양금 등 현악기로는 연주하지 않고 있지만, 『서금보』·『희유』등 옛 악보를 해독하여보면 예전에는 거문고·양금 등 현악기로도 연주하였다.
또 계면조타령→우조타령→계면조타령→우조타령→계면조타령으로 변조하여가며 반복 연주하다가 다음 곡인 군악(軍樂)으로 진행하는 연주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