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심창 ()

원심창
원심창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흑우회, 흑풍회, 흑색공포단 등에서 활동하며 무정부주의 사회실현운동과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6년 12월 1일
사망 연도
1971년 7월 4일
출생지
경기도 평택
정의
일제강점기 때, 흑우회, 흑풍회, 흑색공포단 등에서 활동하며 무정부주의 사회실현운동과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경기도 평택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고향에서 전개된 1919년 3·1운동에 참가한 뒤,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가 아나키즘 사상을 수용하였으며, 박렬(朴烈)과 같이 흑우회에 가입하였다. 1924년 8월 무정부주의 계열의 노동조합인 동흥노동조합(東興勞動組合)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1925년 9월 무정부주의 사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북경(北京)·상해(上海) 등지를 왕래하면서 동포들을 설득하였다. 1926년 5월에는 사상을 구체적으로 전파하고 무정부주의 실천을 위해 행동 기관지 『흑우(黑友)』 제2호를 발간하여 이를 널리 홍보하였다.

이어 1928년까지 흑풍회(黑風會)와 흑우연맹(黑友聯盟)을 결사하면서 무정부주의 사회실현운동을 계속 전개하였다. 1929년 4월 일본 동경유학생학우회의 이른바 폭력행위사건으로 3개월 간 옥살이를 하였다.

1931년 6월 상해에서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에 가입하여 조직을 정비하는 한편, 11월에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을 조직하는 데 참여하였다. 이러한 활동과 더불어 의열투쟁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932년 8월에 귀국하여, 11월에 톈진[天津] 일본영사관과 일본 병사(兵舍) 등 주요 일제기관을 폭파할 것을 모의하였다.

이듬해인 1933년 3월 1일 항일선전문을 등사하여 상해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동포에게 배포, 선전하였다. 이때 흑색공포단 단원과 회합하고 주중일본공사가 장개석(蔣介石)의 만주포기 및 열하(熱河)지방 대일부저항주의(對日不抵抗主義)를 책동하는 음모문제를 폭로, 저지시키기 위해 대책을 논의하였다.

그리하여 그 해 3월 17일 이강훈(李康勳)·백정기(白貞基) 등과 같이 아리요시[有吉明] 주중일본공사를 폭살시킬 목적으로 중국 상해공동조계 우창로[武昌路]에 있는 육삼정(六三亭) 부근의 중국요리점 송강춘(松江春)에서 통과를 기다리던 중 일본첩자의 밀고로 모두 잡혔다.

1933년 11월 일본 나가사키[長崎] 지방재판소 2심에서 백정기와 같이 무기징역, 이강훈은 징역 15년을 선고받고 일본 소재 형무소에서 복역 중, 1945년 징역 20년으로 변경되어 12년 6개월의 복역을 마치고 출옥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대한민국임시정부사』(이현희, 집문당, 1982)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정화암, 자유문고, 1982)
『항일독립운동사』(이강훈, 정음사, 1974)
「장기지방재판소판결문(長崎地方裁判所判決文)」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현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