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봉사 요사 ( )

목차
관련 정보
완주 위봉사 요사 전경
완주 위봉사 요사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위봉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사찰건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위봉사요사(威鳳寺寮舍)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6년 04월 02일 지정)
소재지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산2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위봉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사찰건물.
내용

1976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보광명전의 앞마당 왼쪽에 자리잡고 있다. 평면은 工자형으로서 관음전 · 승방 · 부엌 등이 조합된 독특한 형태이다.

마당을 향한 전면 본채에 앞 뒤 퇴칸을 갖춘 정면 4칸, 측면 2칸의 큰방(대중방)을 두고, 그 양 끝에 붙은 2칸통의 양 익사(翼舍) 부분이 본채의 전면으로 1칸, 후면으로 3칸씩 돌출되었으며 또한 북쪽의 익사 끝에서 후정에 방 1칸을 돌출시킨 평면 구성이다.

큰방에는 관세음보살을 모셨기 때문에 ‘觀音殿’이란 편액이 걸려있다. 큰방의 남쪽 익사는 전면에 칸반의 승방이 있고, 그 뒤로 6칸통의 넓은 부엌과 2줄로 배열된 승방들로 구성되었으며, 북쪽 익사 부분은 전면 쪽에 4짝 장지문으로 두서너 칸살이를 구획한 마루방과 그 후면으로 2칸의 방과 부엌이 이어진다.

각 공간들은 모두 툇마루 또는 쪽마루로 연결되어 있다. 넓은 마루방은 벽면을 띠살문과 판벽으로 처리하여 삼면을 개방할 수 있는데, 강설(講說)과 수선처(修禪處)로 사용하던 마루방인 듯하다.

여러 가지 기능을 한 건물에 통합한 이와 같은 요사의 형태는 19세기 서울 근교에 건립된 원당(願堂)사찰의 대방채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 요사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검약하면서도 견실한 기법을 취하고 있으며, 工자형 평면에 맞추어 구성한 팔작지붕은 각면에 다양한 입면성을 부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요사채』(이응묵, 대원사, 1989)
『사찰지(寺刹誌)』(전라북도, 199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홍승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