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석현 ()

유석현
유석현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의열단에서 활동하며 군자금 모금 활동 및 황옥 경부 폭탄 투척 사건에 가담했다가 발각되어 체포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0년(고종 37)
사망 연도
1987년
출생지
충청북도 충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의열단에서 활동하며 군자금 모금 활동 및 황옥 경부 폭탄 투척 사건에 가담했다가 발각되어 체포된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충청북도 충주 출신으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에서 만세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경찰의 추적을 받아 같은 해 11월 중국 동삼성(東三省)으로 건너갔다. 1920년 7월 중국 톈진[天津]에서 의열단(義烈團)에 입단해 1922년 2월 군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국내로 들어왔다.

1922년 12월 김지섭(金祉燮)·윤병구(尹炳求) 등과 함께 총독 및 일제고관의 처단과 총독부·동양척식회사(東洋拓殖會社)·경찰서 등을 폭파하기 위한 군자금을 모집할 것을 협의하였다. 같은 해 12월 23일 동지들과 서울 무교동에 사는 총독부 판사 백윤화(白允和)를 방문해 군자금 5만원을 요구했다가 2,000원의 자금을 약속받았다.

12월 25일 밤 윤병구와 함께 약속된 군자금 수령을 위해 백윤화의 집을 찾아갔지만 백윤화의 신고로 미리 잠복해 있던 일본경찰에 윤병구는 붙잡히고 유석현은 탈출하였다. 군자금 모금에 실패한 뒤 중국으로 건너가 갔다.

그 곳에서 1923년 5월을 기해 전국각지에서 대폭동을 일으키고 요인을 암살하라는 지령을 받았다. 김시현(金始顯)·황옥(黃鈺)·김지섭 등 동지를 규합해 국내에서 일제 기관의 파괴공작을 실행하고자 1923년 2월 국내로의 무기반입을 모의하고, 폭탄 36개, 권총 5정, 독립선언문 3,000매를 휴대하고 북경(北京)에서 서울로 들어왔다.

같은 해 3월 15일을 기해 총독부·경찰서·재판소·동양척식회사·매일신보사(每日申報社) 등을 파괴할 거사를 계획하였다. 그러나 황옥의 밀고로 일본경찰에 붙잡혔다.

총독부에서는 밀정정책의 일환으로 경기도 경찰부장 시로가미[白上佑吉]가 한인 경부(警部) 황옥을 상해(上海)에 밀파해 극동민족대회(極東民族大會)의 회의내용을 정탐하고 독립운동가의 활동을 밀탐해 기회를 만들어 독립운동가들을 일망타진하고자 했던 것이다.

일본경찰은 황옥의 정보 제공으로 계획의 모든 상황을 파악하고 일거에 전원을 붙잡아 투옥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8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른 뒤 만기출옥해 1941년 다시 동삼성으로 건너갔다. 광복 후 광복회(光復會)의 고문과 광복회장을 역임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광복전후사의 재인식』Ⅰ·Ⅱ(이현희, 범우사, 1991)
『독립운동사』7(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1976)
『한국독립사』하(김승학, 독립문화사, 1965)
『高等警察要史』(慶尙北道警察府, 193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