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선리 토성 ( )

목차
관련 정보
정읍 은선리 토성 성벽
정읍 은선리 토성 성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에 있는 삼국시대 의 성곽. 토성.
이칭
이칭
정읍은선리토성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은선리토성(隱仙里土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1981년 04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19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에 있는 삼국시대 의 성곽. 토성.
내용

1981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58,696㎡. 둘레 774m. 현재 문지(門址) · 수구문(水口門) · 우물터 등이 남아 있다. 이 산성은 높이 20m 내외의 낮은 구릉을 감싼 것으로 정읍금사동산성의 북방에 자리하고 있다.

구릉지대는 남북 280m, 동서 160m 정도의 넓이인데, 윗면은 거의 평탄하게 깎고, 갓돌[邊石, 笠石]은 6∼8m 높이의 토단을 형성하였다. 이는 아마도 목책을 둘렀을 가능성이 많으며 동남변 성곽 외에 약 300m의 호(壕)를 팠다.

성곽은 남변이 넓은 배부른 삼각형을 이루는데 동서남북에 각각 문터가 있고, 서변 중앙 수구에도 문터가 있다. 문터는 모두 밑에서부터 올라갈 수 있도록 너비 12m, 길이 30m 정도의 함도(陷道)를 뚫었다. 수구 안에 우물터가 있고, 동편의 성밖에도 우물터가 남아 있다.

성내에서는 ‘早(조)’자가 압인된 백제기와를 비롯하여 ‘卍’자가 찍힌 고려 시대 기와편과 백제계 도질토기편도 다수 발견되었다.

참고문헌

『고부(古阜)지방고대문화권조사보고서-고사부리(古沙夫里)-』(전영래, 정읍군,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전영래(원광대학교,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