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58,696㎡. 둘레 774m. 현재 문지(門址) · 수구문(水口門) · 우물터 등이 남아 있다. 이 산성은 높이 20m 내외의 낮은 구릉을 감싼 것으로 정읍금사동산성의 북방에 자리하고 있다.
구릉지대는 남북 280m, 동서 160m 정도의 넓이인데, 윗면은 거의 평탄하게 깎고, 갓돌[邊石, 笠石]은 6∼8m 높이의 토단을 형성하였다. 이는 아마도 목책을 둘렀을 가능성이 많으며 동남변 성곽 외에 약 300m의 호(壕)를 팠다.
성곽은 남변이 넓은 배부른 삼각형을 이루는데 동서남북에 각각 문터가 있고, 서변 중앙 수구에도 문터가 있다. 문터는 모두 밑에서부터 올라갈 수 있도록 너비 12m, 길이 30m 정도의 함도(陷道)를 뚫었다. 수구 안에 우물터가 있고, 동편의 성밖에도 우물터가 남아 있다.
성내에서는 ‘早(조)’자가 압인된 백제기와를 비롯하여 ‘卍’자가 찍힌 고려 시대 기와편과 백제계 도질토기편도 다수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