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북분 은잔 ( )

목차
관련 정보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은잔
공예
유물
문화재
경주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은잔.
정의
경주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은잔.
개설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은잔은 황남대총 북분의 목곽(木槨) 안에 있던 껴묻거리 상자[부장궤(副葬櫃)]에서 발견되었다. 그릇은 다양한 문양으로 화려하게 꾸며져 있는데, 기물의 뒷면을 두드려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내는 타출 기법(打出技法)으로 제작되었다.

내용

은잔은 높이가 낮고 지름은 넓은 외형을 하고 있다. 상단과 하단은 연판문으로 문양대를 둘렀으며, 몸통은 공간을 육각으로 구획하고 선이 만나는 지점은 원점을 찍어 연결하였다. 육각문의 내부에는 인물과 상서로운 동물을 돋을새김하였다. 날개를 활짝 펼친 새를 비롯하여 호랑이, 사슴, 말, 뱀, 가릉빈가 등이 확인되고 날개의 깃털이나 몸통의 반점까지 상세하게 묘사해 놓았다. 인물은 옆으로 누운 듯한 독특한 자세로 등장한다. 큰 눈과 높은 코를 가진 얼굴로 서역인의 모습으로 추정되며, 여신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릇의 안쪽 바닥면에는 6개의 꽃잎을 가진 화문이 있고 중앙에는 새 한마리가 꼬리를 말아 올린 모습으로 서 있다. 기물의 뒷면을 앞쪽으로 두드려 문양이 드러나게 하는 타출 기법이 사용되었고 세부는 끌로 음각하여 표현하였다.

은잔에 나타나는 문양의 소재와 구성, 제작 기법 등은 서역의 유물과 관련이 깊다. 육각문을 구획하고 내부에 상서로운 형상을 배치하는 방식은 서아시아에서 비롯되어 실크로드를 통해 동쪽으로 전파되었으며, 중국 남북조시대를 거쳐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유입되었다.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삼연(三燕) 고분에서 출토된 말안장가리개와 광둥성[廣東省]에서 발견된 금동타출완에서도 비슷한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고구려 고분벽화, 경주 식리총과 전북 고창 봉덕리 등 백제와 신라 지역에서 출토되는 금동신발, 무령왕릉의 두침과 족좌, 환두대도 등에서 다수 확인되고 있어, 당시의 유행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은잔에는 인물, 동물, 화문, 육각문 등 다양한 장식이 나타나고 그릇의 안쪽에는 타출 기법의 흔적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따라서 삼국시대 공예 장식 기법과 문양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비교할 수 있는 예가 국내에서 다수 출토되었고 중국,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등의 유물과도 연관되어, 국제 교역의 상황과 영향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국립중앙박물관, 2010)
『황남대총 북분 발굴조사 보고서』(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5)
「백제 한성 시기 금속 공예의 투각 연속 육각문의 수용과 전개」(이송란, 『백제문화』 47, 2012)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