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태안사 동종 ( )

곡성 태안사 동종
곡성 태안사 동종
공예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이칭
이칭
태안사천순명동종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02년 10월 19일 지정)
소재지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 태안사 (원달리)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개설

200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불교 사찰에서 사용한 범종이며, 명문을 통해 158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및 특징

동종의 몸체는 곡선을 이루면서 구연부가 안으로 오므라드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한 마리의 용으로 만들어진 종뉴와 음통이 있고 천판에는 입상화문대를 갖추었다. 또한 몸체의 표면에는 상대와 하대, 연곽 등이 표현되었다. 이는 통일신라와 고려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범종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반면 상대 아래에는 원형 범자가 띠처럼 둘러져 있고 연곽은 몸체 중심에 가깝게 자리하고 있다. 범자 문양의 표현이나 연곽의 위치 변화는 조선시대에 나타나는 새로운 요소이다. 또한 하대의 장식이 종의 구연부 테두리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점도 주목되는데, 가로 띠를 둘러 몸체를 상하로 구분하는 것은 중국 종에서 비롯된 특징이다. 몸체에 보살상과 같은 부조는 나타나지 않고 연곽 사이 하단에 4개의 당좌가 있다.

태안사 동종은 몸체 세 곳에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1457년(세조 3)에 종을 처음 주조했지만 파손되었고 이후 1581년(선조 14)에 다시 만들었다고 전한다. 또한 승려 5인과 일반인 2인이 시주자로 참여하여, 금 400근을 넣어 제작하였다는 내용도 기록하였다.

앞선 시대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일부 새로운 요소가 채용된 예는 경상북도 안동 광흥사 동종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태안사 동종 제작 2년 후인 1583년에 주성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두 유물의 공통된 특징을 통해, 16세기 조선시대 범종의 양식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태안사 동종은 통일신라에서 비롯된 한국종의 독창적인 조형양식을 계승하는 한편 외래요소를 가미한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보존 상태도 양호하고 주조기술도 우수하며, 몸체에 양각된 명문을 통해 조성 유래와 제작연대를 알 수 있다. 시대성을 지니는 동종의 양식적 특징과 명문 기록으로 인해 학술적 가치가 높은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하늘꽃으로 내리는 깨달음의 소리-한국의 범종 탁본전』(직지성보박물관, 2003)
『한국의 범종』(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한국의 종』(염영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신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