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감중마 ()

목차
관련 정보
의감중마
의감중마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학자 이규준이 『동의보감』 중 부양론 · 기혈론과 상통된 부분을 발췌하여 1908년에 저술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학자 이규준이 『동의보감』 중 부양론 · 기혈론과 상통된 부분을 발췌하여 1908년에 저술한 의서.
내용

6권 3책. 목판본. 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그가 평소 주장하던 부양론(扶陽論)과 기혈론(氣血論)을 『동의보감』 중에서 상통된 부분을 발췌하여 엮은 것이다. 그래서 『동의보감』을 거듭 연마한다는 뜻에서 ‘의감중마’라고 책명을 지었다.

그는 금원사대가의 전통을 이어온 자음강화(滋陰降火)의 설을 배척하고, “양은 항상 부족한 것을 걱정하고, 음은 항상 남음이 있는 것을 걱정한다(陽常患不足, 陰常患有餘).”고 주창하여 유아로부터 노년기까지 양을 돕는 약을 준용하여왔고, 『내경(內經)』의 고전을 연구하여 진화(眞火)를 잘 보존하는 부양강음(扶陽降陰)의 치법(治法)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