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평안도도사, 형조정랑,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군응(君應)
낙천재(樂天齋), 동곡(東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4년(명종 9)
사망 연도
1632년(인조 10)
본관
전의(全義, 지금의 충청남도 연기)
주요 관직
평안도도사|형조정랑|지평(持平)|장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평안도도사, 형조정랑,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군응(君應), 호는 낙천재(樂天齋)·동곡(東谷). 이세분(李世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이광형(李光亨)이다. 아버지는 현령 이길(李佶)이며, 어머니는 완산이씨(完山李氏)로 부윤 이정(李楨)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6년(선조 9) 사마시에 합격하고, 부친상을 치른 뒤 1585년에 장사랑으로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이어 승정원주서·감찰을 거친 뒤 호조·예조좌랑을 거쳐, 평안도도사·형조정랑·사헌부지평이 되었다.

그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을 호종하다가 왕명에 의하여 군사를 모으기 위해 남하하였다가, 길이 막혀 의주의 행재소(行在所)에 이르지 못하고 노모를 찾은 일로 뒤에 언관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였다.

그 뒤 개천군수를 제수받고 부임하기 전에 모친상을 치른 뒤 다시 북청판관이 되었으며, 정평부사·군자감부정 겸 춘추관편수관을 지낸 뒤 경기도와 충청우도의 어사로 나갔다. 이어서 군자감정·사간원정언을 거친 뒤 지평(持平)·장령을 거치고, 그 뒤로 예빈시의 부정, 사옹원·장악원·제용감·봉상시의 정 등을 지냈다.

광해군 때는 서인으로, 즉위년부터 삭탈관직에 문외출송(門外黜送)이 되어 양근(楊根)의 전사(田舍)에 돌아가 낙천재를 짓고 농사를 지으며 16년 동안 보냈다. 인조반정 이후에는 내섬시정에 제수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곧 물러났고, 그 뒤 여러 번 기용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음집(淸陰集)』
집필자
박정자(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