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상급서리(上級書吏)인 성중관원(成衆官員)을 뽑는 잡과시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상급서리(上級書吏)인 성중관원(成衆官員)을 뽑는 잡과시험.
내용

이과는 외교문서를 다루기 위하여 뽑는 이문과(吏文科)와는 다른 행정고시로서 1392년(태조 1)부터 실시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상은 1426년(세종 8) 4월부터 실시되었다. 그러나 이과에 관한 기록이 『육전(六典)』에 나타나지 않다가 1431년 9월에 가서야 비로소 정식화되었다.

시험과목으로는 『가례(家禮)』, 율(律)·서(書)·산(算), 『원육전(元六典)』·『속육전(續六典)』·훈민정음(訓民正音)이었다.

이과 합격자에게는 1등에 가각고승동정(架閣庫丞同正), 2등에 가각고부승동정(架閣庫副丞同正), 3등에 가각고녹사동정(架閣庫錄事同正)을 주었으나, 뒤에는 가각고는 허호(虛號)에 불과하다 하여 백패(白牌)를 주었다. 조선 초기의 이과는 약 40여년간 실시되어오다가 다시 이원취재(吏員取才)로 바뀌어 『경국대전』에 오르게 되었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중종실록(中宗實錄)』
「조선초기(朝鮮初期)의 상급서리(上級書吏)와 그 지위(地位)」(한영우,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1983)
「조선초기(朝鮮初期)의 기술관(技術官)과 그 지위(地位)」(이성무, 『유홍렬박사화갑기념논총』,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