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교영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의병을 일으켜 경상북도 일대에서 친일파 처단 및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의병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3년(고종 10)
사망 연도
1910년(순종 3)
출생지
경상북도 영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의병을 일으켜 경상북도 일대에서 친일파 처단 및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의병장.
생애 및 활동사항

경상북도 영천(榮川: 지금의 영주) 출신. 1907년에 광무황제(고종)가 강제 퇴위되고 ‘정미7조약’ 체결, 군대 해산 등 일제의 침략이 심화되어 가는 것을 목도하고 1908년 의병부대를 조직하여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1905년 ‘을사5조약’, 1907년 ‘정미7조약’ 체결 등 일제의 각종 침략조약에 반대하였고, 일제 침략자들을 이 땅에서 축출해야 한다고 호소하였다. 경상북도 일대를 중심무대로 활동하였는데 1909년 3월부터 1909년 10월까지 순흥군(順興郡) 소천리, 풍기군(豊基郡) 외면 신항리, 고교리 등지에서 일본 수비대, 헌병 순사대와 교전하였다.

이교영은 친일 한인에 대한 응징활동에도 주력하였다. 예천군 미울리의 일진회원 홍갈산(洪葛山)을 총살로 처단하고, 안동군 하암탑리에서도 성명 미상의 한인 밀정을 처단하였다. 군자금 모금활동도 활발히 전개하여 안동, 영천일대로부터 군자금을 거둬들였다.

그러나 이교영은 일본군과의 교전, 친일 한인처단, 장기 항쟁을 위한 군자금 모금 등 다각적인 의병활동을 전개하다가 일경에게 체포되었고, 1910년 일제 고등법원에서 교수형 판결을 받아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집필자
유한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