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두악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성균관직강, 사간원정언, 평강현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계첨(季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4년(인조 22)
사망 연도
1687년(숙종 13)
본관
용인(龍仁)
주요 관직
성균관직강|사간원정언|평강현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성균관직강, 사간원정언, 평강현령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계첨(季瞻). 생원 이계인(李啓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간 이사경(李士慶)이다. 아버지는 형조참판 이후산(李後山)이며, 어머니는 참찬 김수현(金壽賢)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9년(현종 10)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는데, 높은 학덕으로 인하여 동료들의 추앙을 받았다고 한다. 그 뒤 연이어 친상을 당하여 시묘를 극진히 하다 병을 얻어, 오랫동안 외가인 부여에 우거하다가 문음(門蔭)으로 벼슬길에 올라 효릉참봉(孝陵參奉)이 되었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곧 문한관(文翰官)이 되어 『현종개수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다음해에 국장감조관(國葬監造官)으로 활약하여 전적에 발탁되었고, 이어서 예조·병조 좌랑을 거쳐 1684년 사헌부지평이 되어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파직되었다.

곧 지평으로 재기용되어, 휼민(恤民)·둔전(屯田)·수령전최(守令殿最: 수령들의 근무성적의 평가)에 따른 문제점의 개선책을 연이어 상소하여 왕의 칭찬을 받았다. 그 뒤 성균관직강을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어 당시의 재상들의 불법을 논하다가 일시 파면되기도 하였다.

비변사낭청을 거쳐 1686년 평강현령이 되어 혜정(惠政)을 베풀었으나, 병을 얻어 사직하고 귀향, 다음해에 죽었다. 평소 학문을 좋아하여 늘 『통감강목(通鑑綱目)』·『논어』와 주자(朱子)의 저술을 깊이 탐독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명재유고(明齋遺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