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익산시 새실마을에서는 예로부터 마을농악이 성하게 전승되어왔고, 김제 · 정읍 등지에서 전문적인 농악을 배워온 사람들을 받아들이면서 전문적인 농악단으로 발전하였다.
꽹과리(3, 4개) · 징(2, 3개) · 장구(3, 4개) · 북(1, 2개) · 소고(6, 8개) · 호적(1, 2개) · 나발(1, 2개) 등의 악기가 쓰이며, 그 편성은 먼저 영기(令旗)가 있고 대포수 · 호적수 · 쇠잡이(상쇠 · 부쇠 · 종쇠 · 끝쇠) · 징(수징 · 부징) · 장구(수장구 · 부장구 · 종장구 · 끝장구) · 북(수북 · 부북) · 법고(수법고 · 종법고 · 부법고 · 끝법고) · 창부 · 조리중 · 무동 · 양반 등으로 되어 있다. 쇠가락에는 일채 · 이채 · 삼채 · 외마치질굿 · 풍류굿 · 오채질굿 · 좌질굿 · 양산도가락 · 호호굿 · 오방진가락 등이 있다.
이리농악은 비교적 느린 가락을 많이 쓰며, 가락 하나하나가 치밀하게 변주되어 리듬이 다채로운 것이 특징이다. 풍류굿 · 덩덕궁이(삼채굿)에서는 악절마다 맺고 푸는 리듬기법을 쓴다.
이리농악은 유장하며 매우 구성진 느낌을 주는데, 특히 오채질굿은 호남 우도농악에서만 보이는 것이다. 호남 좌도농악에서 보이는 영산과 짝두름은 적다.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1호 농악 중의 하나로 지정되었고, 현재 예능보유자로는 김형순(金炯淳 : 설장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