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예조참판, 이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망(聖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6년(효종 1)
사망 연도
1725년(영조 1)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예조참판|이조참판|대사헌
관련 사건
신임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예조참판, 이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망(聖望). 할아버지는 이유담(李維聃)이고, 아버지는 도승지 이하(李夏)이며, 어머니는 민광윤(閔光尹)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9년(숙종 15) 통덕으로 증광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홍문관에 들어갔다. 1693년 문학·지평·수찬·교리, 의정부의 사인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04년 소론으로서 활동이 두드러지자 노론의 대간으로부터 논핵을 받았다.

1707년 부응교로 있으면서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한 뒤 집의를 거쳐, 광주부윤(廣州府尹)을 지내는 동안 소론 김일경(金一鏡) 등과 교유하였다. 그 뒤 1709년 동부승지를 거쳐 경상도관찰사로 나갔으며, 1711년 노론이 정권을 잡고 있는 때라 또다시 대간의 탄핵을 받아 유배당하는 정치적 고초를 겪다가 풀려 나와, 1721년(경종 1)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이듬 해 중앙으로 돌아와 대사간이 되었으며, 같은 해 3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에 따라 이이명(李頤命)·김창집(金昌集)·이건명(李健命)·조태채(趙泰采) 등 노론 4대신(老論四大臣)의 처단을 강력히 주장하고, 경종 시해를 모의했다는 노론들을 일망타진한 신임사화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 때부터 소론 중에서 준소(峻少) 계열로 활약하면서 대사성·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도승지 등을 지냈다. 1723년 예조참판·이조참판·대사헌·부제학 등을 역임한 뒤 영조가 즉위하자 자헌대부(資憲大夫)의 품계에 올랐다.

1725년 신임사화의 주동 인물에 대한 삭탈관직의 주장이 일어나고, 노론들의 일대 반격이 가해짐에 따라 탄핵을 받아 절도에 안치되었다. 김일경·목호룡과 함께 사형되고, 부사공신녹권(扶社功臣錄券)도 위훈(僞勳)이라 해 삭탈되었다. 이사상이 지은 경종의 시책문(諡冊文)이 『의릉지장(懿陵誌狀)』에 실려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청선고(淸選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