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정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박공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박공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연활자본. 1911년 현손 우만(雨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내당정사(內塘精舍)에 있다.

권1에 시 48수, 사(辭) 1편, 권2는 서(序)·기(記) 각 2편, 잡저 5편, 상량문 1편, 고사(告辭)·제문 각 3편, 묘갈명 1편, 행장 4편, 권3에 부록으로 만장·제문·행록·행장·묘갈명 각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만시가 주종을 이루며, 자신의 수양을 위하여 도덕적 엄격성을 나타낸 명(銘)의 성격을 띤 잠시(箴詩)도 많다. 시풍은 담백하며 지나칠 정도로 절제되어 교훈성이 강하다. 「미산별업(嵋山別業)」은 욕심 없는 자신의 고결한 삶의 자세를 신선에 비유한 것으로, 그의 인생관의 일면이 엿보인다.

잡저 가운데 「가훈(家訓)」은 가정의 화목을 위하여 가정에서 지켜야 할 덕목을 아홉 가지로 나누어 밝힌 것이다. 「기장자부유씨효행(記長子婦柳氏孝行)」은 맏며느리의 효행을 중국 정(鄭)나라 의종(義宗)의 처 노씨(盧氏)의 효행과 비교하여 서술한 글이다.

잡저의 문장은 모두 간결하고 논리적인 것이 특징이다. 조선 말기의 생활상을 살펴보는 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집필자
한여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