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룡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평산의병부대의 선봉장으로 활동하였으며, 만주에서 충의사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석대(錫大)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황해도 평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평산의병부대의 선봉장으로 활동하였으며, 만주에서 충의사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 · 독립운동가.
개설

일명 석대(錫大). 황해도 평산 출신. 유인석(柳麟錫)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고 일제의 내정간섭이 심화되자, 박정빈(朴正彬)·조맹선(趙孟善)·신준빈(申俊彬)·신정희(申貞熙)·한정만(韓貞萬) 등과 함께 애국청년들을 규합, 평산에서 의병을 일으켜, 박기섭(朴箕燮)을 대장으로 추대하고 선봉장이 되었다.

의진의 선두에 서서 5개 부대의 병사를 지휘하여 평산, 경의선 계정(鷄井), 예성강 연안일대에서 적과 치열한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1908년 말 하상태(河相泰)·한정만과 함께 강화도에서 온 지홍기의진(池洪基義陣)과 연합하여 황해도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1909년 5월 연기우(延基羽)·김수민(金秀敏)·하상태·한정만·이인순(李仁淳)·정용대(鄭用大) 등과 동으로 철원·평강에서, 서로는 평산·배천 등 3도(道)를 무대로 활동하였다. 적이 필사적으로 소탕 작전을 벌이는 중에도 군자금을 모금하여 각종 무기를 매입하고 병력을 증강시켰다.

1910년 경의선의 계정과 잠성(岑城) 사이의 철로를 파괴하고, 평산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10명의 부하가 붙잡히고 말았다. 그 뒤 개성·해주·서흥(瑞興) 등지에서 500명의 부하를 3개 부대로 나누고, 김정안(金貞安)·최순거(崔順巨)·한정만 등을 부장으로 삼아, 일본군 보병 7중대 및 기병과 접전하였는데, 이 때 100여 명의 부하가 붙잡혔다.

1911년 황해도 해주·평산·곡산 일대에서 500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적보병 제3여단장 나카무라[中村]소장이 지휘하는 보병 16중대와 기병 2중대 및 헌병과 접전하여 250명의 부하가 잡히고 말았다.

그 뒤 국내에서 의병운동이 불가능해지자 1911년 10월 지휘권을 한정만에게 위임하고 조맹선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 남만주로 망명하였다.

봉천성 유하현 삼원보(柳河縣三源堡)에 이르러 조맹선·이종협(李鍾協) 등과 재기를 꾀하여 활동하다가, 박장호(朴長浩)·윤세복(尹世復)·조맹선·홍범도(洪範圖) 등과 같이 장백(長白)·무송현(撫松縣) 등지에 근거를 두고 포수단을 조직, 군사훈련에 힘을 기울였다.

한편, 만주 각지에 산재한 한국이주민들을 규합, 항일사상을 고취하여 국내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는 동시에 애국청년소집과 군자금모금운동에 주력하였다.

1916년 가을 조맹선·황봉운(黃鳳雲)·황봉신(黃鳳信)·김원섭(金元燮)·김일(金鎰)·김효선(金孝善)·한치현(韓致賢) 등 7명과 함께 군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평안북도 운산금광을 향해 출발하였다.

같은 해 9월 9일 완전무장을 한 채 압록강을 건너 영변군 팔원면 용성동의 밀림 가운데 잠복하여 송금마차를 기다렸다가 공격하였으나, 현금마차가 아니어서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하고 귀대하였다.

1918년 1월 조맹선·황봉신·차도선(車道善) 등과 함께 충의사(忠義社)라는 비밀결사단체를 조직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국외에 독립운동기지를 구축하고자 만주로 망명해 오는 애국청년들을 규합하여 항일사상을 고취하며 계몽운동에 주력하는 한편, 군사훈련에 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만주에 분산되어 있던 독립운동단체를 규합하여 국내침공을 감행하기 위한 대규모 기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일본의 주구 임곡(林谷)의 밀고로 관전현(寬甸縣)에서 잡혀 여순(旅順)으로 압송되었다.

이때 황봉운·황봉신 형제가 이진룡을 탈출시키려고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잡히고 말았다. 그 뒤 이들은 평양지방법원에서 함께 사형언도를 받고 순국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부인 우씨(禹氏)도 따라서 순절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매천야록(梅泉野錄)』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1·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1973)
『朝鮮獨立運動』Ⅰ(金正明 編, 原書房, 1967)
집필자
박성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