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궁 ()

목차
조선시대사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었던 조선후기 광해군의 세자빈 간택 관련 주택. 잠저(潛邸)·별궁.
이칭
이칭
이현본궁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었던 조선후기 광해군의 세자빈 간택 관련 주택. 잠저(潛邸)·별궁.
내용

배고개[梨峴]에 있었기 때문에 이현궁 또는 이현본궁이라 불리게 되었다. 창건연혁은 알 수 없으나 1610년(광해군 2)에 세자빈 간택이 있은 뒤 새로 수리하고 가례(嘉禮) 전에 옮겨 생활하는 별궁으로 삼게 하였다.

그 뒤 1623년(인조 1)에 원종(元宗 : 인조의 아버지)의 비인 연주부부인 구씨[連珠府夫人具氏 : 뒤에 仁獻王后로 추존]의 거소로 하면서 궁호를 계운궁(啓運宮)으로 고쳤다. 이어 병자호란 뒤에는 난으로 집이 없어진 인조의 아우인 능원대군(綾原大君)의 거처로 삼았다. 1631년(인조 9) 효종과 인선왕후(仁宣王后)의 가례가 이곳에서 행하여졌다.

이 후 숙종 때에는 숙빈방(淑嬪房)으로 삼았다가 1711년(숙종 37)에는 연잉군[延礽君 : 뒤의 영조]의 잠저를 이 곳에 두기도 하였다. 정조 때에 이 궁을 폐지하면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장용영(壯勇營)을 설치하였고, 순조 때는 장용영의 폐지와 함께 훈국(訓局)·동별궁(東別宮)·선혜청(宣惠廳)·동창(東倉) 등이 설치되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국조보감(國朝寶鑑)』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서울육백년사』문화사적편(서울특별시, 1987)
『한경지략』(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56)
집필자
정계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