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경상북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선산(善山) 김씨용암김익중(金益重)의 고택으로 영조 4년(1728) 7월 15일에 상량했다고 가전(家傳)한다.
원래 대문간과 안채 사이 마당 좌우로 부속 건물이 있었다 하나 지금은 없다. 대문간채는 솟을대문 3칸이 우뚝하게 서 있는 통상적인 구조다. 대문 좌우 협간은 고직이방과 마구간이다.
안채는 ㅁ자형이다. 정침 본당은 겹집의 평면이고 좌우 날개는 단칸통[單間通]이고 사랑방은 간반통(間半通)이다. 따라서 지붕의 크기와 높낮이가 다르다. 본당은 향 좌측 겹집 가운데 뒤쪽 1칸의 귓방으로부터 시작하는데 기둥이 선 자리가 맞은편 안방 기둥과 선이 맞지 않는다.
주간(柱間)이 서로 다르게 설비되었다. ‘귓방’ 우측으로 4칸의 대청, 이어 마루를 깐 고방(庫房)이다. 고방 앞쪽도 마루로 대청이 계속된다.
이어서 안방이다. 안방의 뒷방에 해당하는 고방에 이어진 우측 칸도 마루를 깐 수장 공간인데 ‘도장’이라 부른다. 안방의 위 칸은 본당에 이어지는데 아래 칸은 우측 날개에 자리잡았고 이어 부엌이다. 2칸 반이나 되는 넓이로 남쪽에 외양간이 있는데 원래는 방이었다 한다.
외양간부터가 중문 칸에 해당하는데 외양간, 그 다음이 중문, 여기에 아궁이가 있어 사랑방에 군불을 때게 되어 있고, 이어 두 칸 사랑방이고 다음이 마루방인데 ㄴ자로 꺾이면서 좌측 날개가 되며, 다음이 ‘중방’ 그리고 곳간 다음이 본당의 귓방 앞 대청이 된다.
다른 집에 비해 수장 공간이 많은 편이다. 사대부 제택(第宅 : 살림집과 정자의 총칭)형에 이렇게 수장 공간이 다양한 예는 부곡(部曲 : 장군이나 지방 호족이 사사로이 둔 사병)을 관리하는 책임자 집에서 볼 수 있기도 하나, 이 지역은 부곡과 인연이 없으므로 혹시 바다와 연관된 생산(生産)을 관리하던 집에 해당하지 않았는가 싶다.
창건 당초의 생업을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으나 가전(家傳)에는 김익중에게 삼척부(三陟府)를 식읍(食邑 : 나라에서 공신에게 내리며, 조세를 개인이 받아쓰게 한 고을)으로 주었다 한다. 부자였다는 의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