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 주암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북도 인산군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돌널무덤 · 고인돌 관련 복합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인산군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돌널무덤 · 고인돌 관련 복합유적.
내용

인산읍에서 40㎞ 떨어진 주암리의 서북쪽을 흐르는 장산천과 용바위천의 중간에 있는 구릉지대에 위치한다.

1965년 가을에 북한의 조선력사박물관의 백용규(白龍奎) 등에 의해 팽이형 토기가 출토된 집터 1기, 돌널무덤 4기, 남방식 고인돌 1기가 발굴되었다.

집터는 남북 11m, 동서 6m, 깊이 80㎝의 장방형 움집터이다. 진흙을 1㎝ 두께로 다진 바닥의 중앙부에서는 지름 50㎝ 규모의 화덕이, 네 모서리와 동쪽 벽선에서는 1m 간격으로 뚫려 있는 기둥구멍이 확인되었다. 이는 팽이형 토기인의 전형적인 집터이다.

집터 안에서는 팽이형토기·작은 긴목항아리[長頸壺]·바퀴날도끼[環狀斧]·톱니날도끼[多頭斧]·대팻날돌끌[石鑿]·돌살촉·돌돈[石貨]·돌도끼·숫돌·반달돌칼[半月形石刀]·돌검·가락바퀴[紡錘車] 등이 출토되었다.

돌널무덤은 모두 네 벽과 바닥, 뚜껑을 각 1매의 판석으로 조립해 만든 형태이다. 이 중 1개는 2개의 돌널무덤을 덧조립해 만든 것으로서 윗돌널무덤의 바닥돌은 아래돌널무덤의 뚜껑으로 사용되었다. 유물은 네모도끼[四稜斧]·돌살촉이 출토되었다.

남방식 고인돌은 뚜껑돌 밑에 강돌로 네 벽을 쌓아 매장돌방을 만든 형태이다.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주암리의 집터·돌널무덤은 팽이형 토기인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고인돌의 하부구조는 특이한 형태로서 묵방리(墨房里) 남방식 고인돌의 하부구조와 비슷하다.

의의와 평가

팽이형 토기 유적이면서도 작은 긴목항아리가 나타나는 점과 남방식 고인돌의 하부구조에서 볼 때, 이 유적의 연대는 청동기시대 후기인 서기전 1000년기 후반 초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린산군 주암리 원시유적발굴 간략보고」(백룡규, 『고고민속』1966년 2호, 사회과학원출판사)
집필자
한영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