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을 그 지시 내용으로 하는 사물대명사, 장소를 지시 내용으로 하는 처소대명사 등에 대립된다. 인칭대명사는 사람을 가리키기 때문에 단순히 인대명사(人代名詞)라고 하기도 하고 사람대명사라고 하는 일도 있다.
인칭대명사는 상황지시(狀況指示, deixis)의 원점인 화자(話者)를 중심으로, 또는 화자와 청자가 이루는 축(軸)을 중심으로 그 가리키는 인칭이 나누어진다.
화자가 상황 지시의 원점인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것을 1인칭, 화자가 그 축의 상대편에 있는 청자를 가리키는 것을 2인칭, 화자가 청자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제삼자를 가리키는 것을 3인칭이라고 한다.
국어의 인칭대명사에는 1인칭에 ‘나·저·우리(들)’가 있고, 2인칭에 ‘너·자네·그대·당신·너희(들)·자네들·당신들’ 등이 있으며, 3인칭에 ‘그·그녀·이이·그이·저이·이분·그분·저분·그들·저들·이들’ 등이 있다.
이 밖에 그 가리키는 내용이 확실히 정하여지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부정칭(不定稱)으로 ‘아무·누구’가 있고, 그 가리키는 대상을 모르는 경우에 사용되는 미지칭(未知稱)으로 ‘누구’가 있다.
‘누구’는 그 쓰임에 따라 미지칭이 되기도 하고 부정칭이 되기도 한다. 미지칭은 의문사라고도 한다. 이 밖에 앞에 나온 대상을 되가리키는 데 쓰는 ‘자기·저·당신’ 등과 같은 재귀대명사가 있다.
이들 인칭대명사는 그 가리키는 대상을 높이느냐, 그렇지 않느냐, 낮추느냐에 따라서 존칭(尊稱)·평칭(平稱)·비칭(卑稱) 등으로 나누어진다.
‘당신·어르신(네)·이분·저분·그분’은 존칭이며, ‘저·저희’는 비칭이고, 나머지 예들은 평칭이다. 재귀대명사에 있어서도 ‘당신’은 존칭이고, 일반적으로 ‘저’는 비칭이며, ‘자기’는 평칭이다. 2인칭대명사 ‘당신’은 일반적으로 존칭이라고 하나, 부부 사이 외에서는 존칭으로 사용되는 일은 드물다.
1인칭 ‘우리’의 쓰임에 대해서는 포괄적인(inclusive) 용법과 배타적인(exclusive) 용법이 주목된다. 청자를 포함시켜 ‘우리’라고 할 때는 포괄적인 용법이라 하고, 청자를 제외하고 ‘우리’라고 할 때는 배타적인 용법이라 하는데, ‘나의 부인’을 ‘우리 마누라’라고 하는 것은 배타적인 용법의 대표적인 예이다.
인칭대명사는 격조사와 결합될 때, 그 어형이 달라지는 일이 흔하다. 나+이·가→내, 나+의→내, 너+이·가→네, 너+의→네, 누구+이·가→누가(뉘), 누구+의→뉘, 저+이·가→제, 저+의→제 등과 같은 변화가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