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질요 (자귀질)

목차
구비문학
작품
자귀로 나무를 쪼면서 부르는 민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자귀로 나무를 쪼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

남성 노동요의 하나이다. 자귀는 농산촌에서 작은 나무를 깎고 다듬을 때 쓰는 목수들의 도구 가운데 하나이다. 이 노래는 자귀로 목수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로, 자귀가 비록 작은 도구에 지나지 않지만 큰 공사에서도 제구실 함을 노래한 것이다. 희귀해서 전하는 것이 드물다. 제주도에 전하고 있는 노래를 보면 다음과 같다.

써두리 더럼마야/남도 팔제좋아 냉낭근

대성전의 대들보매왕/일만선비 정말으더라

남도팔제 굴어랜남근/시간집이 디딜팔놓앙

만국풍진 격관헌다/요낭저낭 팔제좋은 왕

요산중에 태어나서/풍우대작 격관허단

이내어깨 맛을보난/좋은좋은 방안으로

만년부패 허실로구나/낙양땅에 나서지민

아방궁을 지을적이/대들보나 매여시컬

……(중략)……

영주산에 낭기때문/이내어깨 맛을보니

좋은좋은 방안으로/만년부패 허실로구나

참고문헌

『한국민요집』Ⅰ∼Ⅵ(임동권, 집문당, 1961∼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