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륙당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장육당유집
장육당유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조구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8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조구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8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1685년(숙종 11) 아들 태동(泰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수흥(金壽興)의 서문, 권말에 박세채(朴世采)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에 있다.

상권에 시 203수, 하권에 제문 6편, 소(疏) 8편, 차(箚) 3편, 계(啓) 3편, 간독(簡牘)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오언과 칠언의 절구·율시·배율·고시 등 다양한 형식으로 되어 있고, 차운시·증여시·만시 등이 많다. 대체로 전형적인 사대부관료계층의 작품들이다. 소 가운데 「옥당연명논심유행논사지실잉사직소(玉堂聯名論沈儒行論事之失仍辭職疏)」는 인사문제를 둘러싼 조정내부의 알력을 짐작하게 하는 글로서, 먼저 대간이라는 직분의 역할과 기능을 서술한 뒤, 임금의 귀와 눈이 되어 잘못을 규명하고 탄핵하여야 할 대간들이 소임을 다하지 않고 있음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지적하였다.

이 상소문은 당시 옥당 제신들의 연명상소로서, 인사문제가 정치문제화할 만큼 많은 모순을 안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집의시사직잉진시폐소(執義時辭職仍陳時弊疏)」는 전후의 문란한 조정의 기강과 지방행정의 부패상, 백성들의 극심한 생활고에 대한 대책 마련의 시급함을 지적하고 그 시정책을 11조목으로 제시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에 수록된 소·차·계 등은 당시의 정치상황을 알아보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