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5m. 197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방형의 돌로 가슴 아래의 몸체를 구성하고, 그위로 가슴부터 머리까지는 별개의 돌을 얹어 조각하였다.
머리 위에는 부도(浮屠)의 보개(寶蓋)와 같은 팔각형 보관을 쓰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보물, 1963년 지정)이나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보물, 1963년 지정) 등에서도 나타난다. 얼굴은 납작한 원반형으로서, 나발의 모습과 눈을 선각(線刻)으로만 간략히 처리하였다.
특히 눈이 매우 크고 그 안으로 눈동자를 점(點)으로 찍은 듯이 표현하여 해학적인 느낌이 든다. 코는 자루모양으로 납작하게 윤곽만을 표시하였고, 입술 역시 크고 두툼하며 약간의 미소를 띄운 듯하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선각되었으나 지극히 형식적이며, 양어깨는 거의 없을 정도로 좁게 처리되었다. 왼손은 가슴 앞에 대고 오른손을 내린 모습인데, 얼어붙은 듯 경직되었다. 옷주름은 앞면에만 표현되어 통견(通肩)의 법의를 걸쳤으나 가슴 아래부터는 의미 없는 반복 양각선으로 구성되었다.
전체적인 형상이 석비(石碑)와 같은 네모진 기둥모양으로 변모되었고, 특히 해학적으로 과장된 편평한의 얼굴모습은 불상이라기보다 돌하루방이나 장승처럼 느껴진다. 이 작품은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보물, 1963년 지정) 등과 같이 고려 중기 이후에 제작된 형식화된 지방양식의 불상과 맥락을 같이하는 예로서, 그 제작시기 역시 고려 말이나 조선 초기 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