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삼봉리 고인돌군 ( 고인돌)

목차
선사문화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내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북방식과 남방식이 혼재된 고인돌군. 지석묘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내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북방식과 남방식이 혼재된 고인돌군. 지석묘군.
내용

북방식 1기를 포함한 19기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6기가 1979년 9월 전주박물관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논 가운데 있는 북방식 고인돌은 길이 3.05m, 너비 1.35m, 두께 0.6m의 상석을 2개의 판석으로 받치고 있었는데, 장축방향은 동남 30°이다. 지석은 55.0㎝의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놓였는데, 남쪽 지석은 길이 1.65m, 북쪽 지석은 이보다 30㎝ 짧다. 현재 30㎝ 높이 이하는 논바닥으로 메워져 있어, 실제 지석높이는 알 수 없다.

판석 두께는 모두 13.0㎝ 내외이다. 동서단벽의 지석은 보이지 않으나, 돌덧널 너비는 120×55㎝ 정도이다. 이 삼봉리의 고인돌과 가장 비슷한 예는 논산 신기리 A호이다. A호의 크기는 상석은 길이 3.10m, 너비 1.55m, 두께 0.45m이며, 장지석도 길이 1.60m, 높이 1.05m, 두께 10∼25㎝, 단벽석은 너비 0.48m, 높이 0.70m이다.

이는 상석이나 지석의 크기, 나아가서 돌덧널의 너비 등이 대동소이하며, 다만 신기리의 예로 보아서 삼봉리의 지석 높이도 적어도 1m를 넘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에 있어서의 북방식 고인돌은 고창 도산리 고인돌을 최남단으로 하는데, 내륙지방은 이 삼봉리 고인돌이 최남단인 셈이다. 고창 매산리의 예처럼 남방식과 북방식이 한곳에 혼재하는 것도 특징이다.

삼봉리의 남방식 중 상석의 크기는 제2호가 길이 3.0m, 너비 2.2m이며, 제3호는 길이 3.0m, 너비 1.7m, 제4호는 길이 1.55m, 너비 1.0m, 제5호는 길이 2.15m, 너비 2.0m, 제6호는 길이 1.5m, 너비 1.1m로서 모두 소형이며, 거의 논바닥에 매몰되어 있고 괴석을 지석으로 괸 남방식이다.

참고문헌

「장수삼봉리북방식지석묘」(전영래, 『전북유적조사보고서』10, 전주시립박물관, 1979)
집필자
전영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