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양악리 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장수 양악탑 정면
장수 양악탑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건조된 소형 불탑. 석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장수양악탑(長水陽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3년 06월 23일 지정)
소재지
전라북도 장수군 양악길 156-12 (계북면, 양악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건조된 소형 불탑. 석탑.
내용

높이 2m. 1973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양악리 북방 200m 지점의 산기슭 밭 가운데에 있는 화강석으로 된 소형탑이다. 원래 이곳에 심방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한다. 몇 번인가 이동, 재건되어 탑재도 없어지고, 마손도 심하지만 원형의 특징을 살필 수는 있다.

방형 지대석(地臺石) 위에 그보다 너비가 좁혀진 방형 대석을 놓고 그 위에 사다리형 방주석을 제1옥신(屋身)으로 하고, 그 위에 옥개석(屋蓋石)을 거꾸로 얹었다. 옥개석 하면에는 3단의 받침이 있고 상면에는 1단의 굄이 있다. 이 도치된 옥개석 위에 방형 옥신을 놓았는데,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모각되었고, 이 옥신 위에는 옥개석과 상층옥신을 1석으로 새긴 탑신을 도치하였다.

옥개석 추녀 밑은 경사를 이루고, 3단의 받침이 있다. 옥신은 위가 좁혀진 기둥꼴인데 희미하게 우주를 새겼으며, 옥개석과의 접면에 1단의 굄이 있다. 그 위에 다시 제3층 옥개석과 제4층 옥신을 1석으로 새긴 탑신을 역시 거꾸로 얹었다.

옥개석 하면에 3단 받침이 있고, 상면에도 1단의 굄이 있어, 상층 옥신을 새겼다. 옥신부도 형태는 하층과 같으며, 이 위에도 제4층 옥개석과 제5층 옥신을 1석으로 새긴 탑신부가 도치되어 있는데, 수법과 형태는 하층과 같다. 옥개석 정부에는 복발형 돌을 얹었으나 제5층 옥개석이 빠진 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전라북도, 197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전영래(원광대학교,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