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 ()

목차
민간신앙
개념
재물이나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는 운수를 가리키는 민간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재물이나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는 운수를 가리키는 민간용어.
내용

‘오늘 재수없다.’라는 말처럼 하루하루의 짧은 운수를 말하지만, 집안이나 가족을 단위로 넓은 의미의 운수를 말하기도 한다. ‘그 집은 재수가 없다.’는 말도 한다. 특히, 개인의 재수를 말해서 신수(身數)라고 한다.

신수점은 개인의 운수를 점치는 일을 말한다. 그러나 재수를 점치는 것은 별로 없다. 다만, 아침에 손을 베었을 때 “오늘 재수가 옴붙었다.”고도 한다. 이는 자기 행위나 다른 어떠한 행위의 결과로 인해서 재수가 좌우된다는 메커니즘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지닌 운수에 의하여 또는 신에 의하여 재수가 좌우된다고 하기보다는 어떠한 부정한 행위로 신을 노엽게 하여 자신의 재수가 결정된다는 생각이 강하다. 여자가 사내의 앞을 지나가면 재수없다는 것 따위이다.

그러나 보다 추상적으로 말해서 ‘재수가 물밀 듯한다.’라든지 ‘재수없는 놈은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와 같은 것은 몸에 지닌 운수에 의한 것이라는 뜻이 있다.

위에 든 간단한 나쁜 재수는 침을 뱉는 정도의 가벼운 주술로 처리하지만, 후자의 경우와 같은 내재적인 운수는 어떠한 적극적인 의례를 통해서 대처할 수 있다고 믿는다.

불교식으로 재수를 기원하는 것이 ‘재수발원(財數發願)’이고 재수를 빌기 위해서 부처님께 불공을 드리는 것은 ‘재수불공’이다. 재수를 빌기 위하여는 무당에게 굿을 의뢰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것은 개인의 재수보다는 한 집의 재수를 비는 것이다. 가족 중에 상업을 하거나 주된 수입을 담당하는 가족원을 위한 굿처럼 강조되는 경우라도 역시 가족 전체를 위한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굿이 된다.

재수굿이라 하여 어느 일정한 신에게만 재물을 바치고 굿을 하는 것이 아니고 역시 전체적으로 모든 신들을 모시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것은 재수라고 하여도 재물만 풍족하면 되는 것이 아니고, 가족원들의 건강은 물론이고 인간관계가 좋아야 하는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있기 때문에 항상 굿은 복합적으로 행하여진다.

그러나 많은 신들 가운데 특히 집안의 재물을 담당하는 ‘터줏대감’이 가장 중요한 신으로 모셔진다. 집집마다 뒤뜰에 모셔둔 터줏가리가 있는데 재수굿에서 주로 이 터줏신·터줏대감을 모신다. 무녀가 떡시루에 쇠다리를 얹고 춤을 추면서 재수사망을 섬겨주겠다는 무가를 부른다.

굿 가운데 이 재수굿은 가장 신이 나며 가족들이 즐거워하는 굿이기 때문에 무당들은 계속 밝은 표정을 하게 되고 가족들도 즐거워하며 무감을 서는 등 축제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무당은 부채로 재물을 집안으로 불러들이는 시늉을 한다.

재물의 운수는 이렇게 신에 의하여 밖으로부터 집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굿을 하는 것은 일종의 신앙적인 자본의 투자이기도 하다. 또한, 단순히 무당에게 돈만 주는 손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무속(巫俗)의 세계』(최길성, 정음사,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