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적
국악
유물
관악기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관악기의 하나.
내용

아악기(雅樂器). 적은 원래 네 구멍이었는데, 후한(後漢)의 경방(京房)이 한 구멍을 더하여 5음을 갖추었다고 한다. 송나라 때에는 다시 한 구멍을 더하여 앞에 다섯 구멍, 뒤에 한 구멍의 여섯 구멍이 되었다. 고려 예종 11년(1114)에 송나라에서 적이 들어왔고, 아악의 등가(登歌)와 헌가(軒架)에 아울러 사용하였다.

『악학궤범』의 적은 U자모양의 취구와 더불어 지공(指孔)은 앞에 다섯, 뒤에 한 구멍이 있고, 아래 끝 양쪽에 두 개의 허공(虛孔)이 있다. 또, 아래 끝마디에 지(篪)와 같이 십자공(十字孔)을 뚫은 점이 특색이다. 그러나 현재는 십자공을 뚫지 않는다.

중국계 아악에만 편성되는 적은 12율 4청성(十二律四淸聲)을 가진다. 지공 6구멍에서 12율 4청성, 즉 16음을 모두 내려면 반구멍만 떼는 반규법(半窺法)과 세게 김을 넣어 내는 역취법(力吹法)을 함께 쓴다. 현재는 문묘제례악에만 사용되는데, 손 짚는 법과 부는 법은『악학궤범』시절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악학궤범(樂學軌範)』
『한국악기대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