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송조표전총류 권7
송조표전총류 권7
한문학
개념
자기의 의사를 남에게 표현하는 한문문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자기의 의사를 남에게 표현하는 한문문체.
내용

중국 고대 한위(漢魏) 때는 천자에게 상주하는 서장이나 태자 제왕에게 올리는 서장을 모두 ‘전’이라고 하였다. 반고(班固)의 「세동평왕전(說東平王箋)」, 양수(楊修)의 「답임치후전(答任淄侯箋)」, 번흠(繁欽)의 「여위문제전(與魏文帝箋)」, 오질(吳質)의 「답위태자전(答魏太子箋)」 등이다.

그 뒤부터는 천자에게는 표(表)라 칭하고 황후나 태자에게만 전이라고 일컬었다. 『수사감형(修詞鑑衡)』에는 “전이란 태자에게 문안드릴 때, 중궁전에 하례드릴 때의 글체이다.”라 하였다. 문체는 대체로 표(表)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보통은 변려문을 썼으나 산문으로 지은 것도 있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에 박호(朴浩)의 「하년기거전(賀年起居箋)」에서부터 비롯된다. 이것은 중국 황태자에게 신년을 축복하는 연하장이다. 그 밖에도 「하전(賀牋)」 · 「하동기거전(賀冬起居牋)」 · 「하생일기거전(賀生日起居牋)」 등 전은 이루 헤아릴 수 없게 많다. 그 뒤에 고려시대는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서 표와 전 등의 차별이 없이 혼용하여 쓴 경우가 많다. 이것은 전의 원의와는 약간 다른 것이다.

조선조에 들어서면서 표와 전을 구분하여 중국 천자에게는 표라 하였고 우리나라 임금이나 중전에게 올리는 글은 전이라 하였다. 중국 황태자에게 올리는 글도 역시 전이라 하였다. 전의 명가로는 정도전(鄭道傳) · 서거정(徐居正) · 최립(崔岦)을 들 수 있다. 최립을 고비로 하여 전체는 쇠퇴하여버렸다. 이는 당송고문(唐宋古文)이 세를 떨친 때문이라 하겠다.

전의 종류는 하장(賀狀), 축전(祝箋), 사전(辭牋), 사전(謝牋), 진전(進牋)으로 나누어진다. 신년이나 탄일 · 절후를 축하하는 하장(賀狀)이 가장 많고 태자나 왕후를 책봉하거나 존호(尊號)를 올릴 때의 축전(祝箋)이 많다. 그밖에 벼슬을 사양하는 사전(辭牋), 물건을 받고 감사하는 사전(謝牋), 책을 지어 왕에게 바치는 진전(進牋) 등이 주종을 이룬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간역당전집(簡易堂全集)』
『문체명변(文體明辨)』(서사증)
『中國文學通論』(兒島獻吉郞)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