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한문학
개념
문답형식으로 진행되는 한문문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문답형식으로 진행되는 한문문체.
내용

대부분 상대방을 힐난하는 문제를 먼저 가정하여 전제해놓고 그를 반박하는 자기의 의사를 토로하는 것이 주된 형식이 된다. 그러므로 같은 대이지만 국가시험인 대책(對策)과는 마땅히 구분이 되어야 한다.

대는 중국 고대 송옥(宋玉)의 <대초왕문 對楚王問>을 시초로 삼는다. 그 이유는 <대초왕문>의 문체가 그 뒤에 명작인 동방삭(東方朔)의 <답객난 答客難>, 양웅(揚雄)의 <해조 解嘲>, 반고(班固)의 <답빈희 答賓戱> 등의 전형을 열어놓았기 때문이다.

당대(唐代) 한유(韓愈)의 <대우문 對禹問>도 바로 그 지류이며, 소식(蘇軾)의 <일유 日喩>도 역시 거기에서 영향을 받았다 하겠다.

우리 나라에도 대는 중국과 같은 양상이다. 이상한 관상장이의 역설적인 관상이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이규보(李奎報) 의 <이상자대 異相者對>와 , 중국 은나라 때에 두 어진 신하 기자(箕子)와 비간(比干)의 우열을 논한 이첨(李詹)의 <객대 客對>가 ≪동문선≫에 처음으로 실려 있다.

이들 내용을 요약하면 모두 객이 힐난하는 문제를 자신의 처지로 우회하여 정당화한 것이다. 결국 선비들이 자기의 불우에 대한 울분을 풀고 위안을 가지려는 데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문체에 문대(問對)라는 것이 있으니 문(問) 또한 문인의 가설적인 말이다. 이름은 대(對)와 비록 다르나 그 실상은 다름이 없다. 그리하여 이름과 실상이 모두 문(問)인 것은 굴평(屈平)의 <천문 天問>, 강엄(江淹)의 <수고편 邃古篇> 등이다. 그것이고, 이름은 문(問)이고 실상은 대(對)인 것은 유종원(柳宗元)의 <진문 晉問>이다.

기타의 난(難) 또는 유(諭)라는 것이나 답(答) 또는 응(應)이라는 것도 차이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역시 문대(問對)의 유이다.

대는 ≪좌전 左傳≫·≪사기 史記≫·≪한서 漢書≫ 등에 옛날 군신(君臣) 간에 서로 문답하는 것이다. 후인들이 그것을 모방하여 가설적인 말을 해서 자기의 뜻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문헌

『동문선』
『문심조룡(文心雕龍)』
『문체명변(文體明辨)』
『中國文學通論』(兒島獻吉郞 著, 孫俍工 譯, 臺灣商務印書館, 1972)
『中等文言文手冊』(劉乃昌, 山東 敎育出版,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