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생전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조선시대에, 김기가 지은 고전소설.
작품/문학
작가
김기(金琦)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생전」은 조선시대에 김기가 지은 고전소설이다. 사대부인 정생은 중인 출신의 여주인공을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채 배신을 하게 되고, 여주인공은 아들 하나를 남긴 채 자살하고 만다. 정생은 그 아들마저 매몰차게 버리지만 결국 아들과 상봉하게 되고 여주인공과의 전생 인연을 깨닫게 된다는 내용이다.

정의
조선시대에, 김기가 지은 고전소설.
저자

김기(金琦, 1722~1794)는 「정생전」 외에도 「황생전(黃生傳)」을 창작하였다. 당시는 청(淸)나라의 다양한 학문이 조선으로 수입되던 시기였는데, 김기는 평생 포의(布衣)로 지내면서 천문학, 병법(兵法), 실학(實學) 등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깊은 사색을 통해 사물의 본질을 깨닫는 경학(經學)을 열심히 공부하면서 실용적인 학문과 박학을 함께 추구하였으며, 당대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인 안목을 가지고 있었다. 「황생전(黃生傳)」에는 북벌론(北伐論)에 대한 그의 견해가 잘 드러나 있다.

내용

1권 1책. 한문 필사본. 남녀 주인공의 연애담(戀愛談)과 아들의 효행(孝行)을 그린 작품이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정생(丁生)은 경기도 양근현에서 향반(鄕班)의 아들로 태어나, 10세 전에 부모를 여의고 서울에 사는 고모부 권 상서에 의탁하여 자란다. 장성(長成)한 정생은 용모가 단정하고 재주가 뛰어나 주위의 칭송(稱頌)을 받는다.

정생은 봄날 봄놀이를 하고 돌아오는 길에 이조(吏曹) 서리(胥吏)의 딸을 만나 백년가약을 맺는다. 얼마 후 그녀가 정생에게 편지를 보내어, 처녀로 임신하여 집에서 쫓겨나게 되었으니 패물(佩物)을 팔아 같이 살림을 차리자고 한다. 정생은 이 사실을 고모에게 고백할 수 없어 주저하고 있는데, 고모부 권 상서가 청풍부사로 좌천(左遷)되면서 정생은 권 상서와 같이 청풍으로 가게 된다.

어느 날 밤 홀연 그녀가 정생에게 나타난다. 그녀는 아들을 낳아 유모에게 맡기고 자살한 일을 말하고, 모년 모월 모일에 서울 광통교에 가면 유모가 아들을 데리고 나와 있을 것이라고 일러 준 후 사라진다. 그 뒤 정생은 서울에 올라와 양반집 딸과 혼인하여 아들을 낳고 재산도 모으고 이름도 높아졌다.

정생은 그녀의 원혼이 일러준 날 광통교에서 아들을 만나 데려오다가, 집안의 분란(紛亂)이 두려워 도중에 아들을 떼어 놓고 도망쳐 버린다. 그 뒤부터 정생은 재산을 탕진(蕩盡)하여 생활이 점점 어려워져 갔다. 그러다 정생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에 걸려, 속리사로 수양(修養)하러 간다.

하루는 묘향산에서 온 명승(名僧)이 암자에 있는 정생을 찾아온다. 죽은 어머니가 꿈에 나타나 아버지가 여기에 있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며, 자기가 지난날 광통교에서 정생에게 버려진 그 아들이라고 한다. 정생의 아들은 승려 생활을 중단하고 지성(至誠)으로 정생을 봉양(奉養)하기 시작한다. 정생은 신선(神仙)의 참동계(參同契)를 익히고, 정생의 아들은 신인(神人)의 교시(敎示)를 받고 동삼(童蔘)을 캐다가 정생에게 먹인다.

정생의 아들은 도술을 부려 아버지 정생과 함께 바람을 타고 수미산(須彌山) , 곤륜산(崑崙山)으로 가서 불계(佛界)와 요지(瑤池)를 구경하고 돌아온다. 정생은 유신법(遊神法)을 써서 저승으로 가서 그녀를 만났고, 그녀와 전생에서의 인연을 알게 된다. 현세(現世)로 돌아온 정생은 본가에 있는 아들을 불러오라고 하여, 명승인 큰아들에게는 도를 닦아 성불(成佛)하라고 이르고, 작은아들에게는 가문을 지키라고 이르고 죽는다. 정생의 큰아들은 생모와 유모의 묘소를 아버지 묘소 옆으로 이장(移葬)하고는 다시 승려로 돌아간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유교(儒敎) · 불교(佛敎) · 도교(道敎)가 융합되어 사상적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매우 독창적인 구성과 주제를 지닌 소설이다. 당시 시대적 사회상을 고려했을 때, 사회적 신분이 서로 다른 양반의 아들과 서리 딸의 연애는 일반적이지 않은 남녀 간의 결합이다. 이러한 신분상의 차이와 정생의 처지로 인하여 두 사람의 사랑은 비극적인 결말로 끝난다.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을 다시 버리는 정생은 사랑의 배신자이면서, 동시에 자신이 저지른 일을 수습할 능력도 용기도 없는 무능력한 서생(書生)으로 그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생에게 버림받았던 아들이 명승이 되어 돌아와 승려 생활을 중단하면서까지 아버지를 지성으로 봉양하는 것은 이 작품의 주제가 효행을 강조함을 말해 준다.

정생은 현실을 도피하고 선계(仙界)를 지향하는 선계 추구자의 정형적인 인물로 설정되어 있으며, 중인(中人) 출신의 여주인공이 등장하는 것은 조선 후기 중인 계층의 성장이 소설에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차용주, 『한국한문소설사』(아세아문화사, 1992)

논문

김수현, 「기헌(寄軒) 김기(金琦) 연구」(『고전문학연구』 24, 한국고전문학회,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