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동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조선 후기의 중인 출신 시인 정수동(鄭壽銅)에 관한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중인 출신 시인 정수동(鄭壽銅)에 관한 설화.
개설

정수동의 본명은 정지윤(鄭芝潤)이다. 문헌설화는 『일사유사(逸士遺事)』에 전하며, 구전설화는 정수동의 활동 지역이었던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수원 · 의정부 등 중부 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최근 여러 출판사에서 간행한 야담과 야사집을 통해서 다른 지방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구전설화는 몇 편에 지나지 않으나 야담집과 야사집에 20여 편의 유형이 전하고 있다. 술, 이야기, 시문과 풍류를 즐긴 정수동은 당대의 문인 · 정치가로 이름을 떨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그들의 허위와 부정을 풍자한 일화들이 많은데, 주로 양반 관료들의 부정 축재를 비판하는 이야기가 많다.

내용

정수동은 부정한 돈은 술로 씻어야 한다면서 늘 술에 취하여 있었다. 가깝게 지내던 조두순(趙斗淳)의 잔치에 초대를 받은 정수동이 솟을대문을 들어서니, 사람들이 어린애가 동전 한 닢을 삼켰는데 창자에 동전이 붙으면 죽게 된다고 야단법석이었다.

이때 정수동이 나서서 사랑에 모인 대감들이 들으라는 투로, “걱정할 것 없네. 아랫배만 슬슬 쓰다듬어 주면 그만일세. 어느 대감은 남의 돈 몇 만 냥을 삼키고도 배만 쓸고 있으면 아무 일 없는데, 까짓 제 돈 한 닢을 삼키고야 무슨 배탈이 나겠는가!” 하고 소리를 쳤다. 대감들은 이 말에 흠칫하였다.

이윽고 술잔이 돌고 유흥이 무르익자 조 대감이 좌중에게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어느 대감은 호랑이라 하고 도둑이라고도 하는데, 다른 대감이 나서더니, “양반의 호령 한마디면 호랑이도 잡고 도둑도 잡을 뿐 아니라, 양반네의 명령에 누군들 꿈쩍하겠소. 그러니 가장 무섭고 두려운 것이 양반이오.” 하며 좌중을 둘러보자, 잠자코 있던 정수동이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호랑이를 탄 양반 도둑입니다. 가슴에 호랑이(옛날의 호패)를 달고 온갖 도둑질을 자행하여 백성들의 고혈을 빨고 삼천리강산을 망치니 이보다 더 무서운 것이 어디 있겠소!”라고 하여 좌중을 숙연하게 하였다.

의의와 평가

정수동은 하농민인 방학중과는 달리 당대의 최고 지배층과 교분을 나눌 정도로 학문이 높고 지체도 상당하였지만, 이들에 영합하지 않고 비판하며 관직에도 오르지 않았다. 따라서 「정수동설화」에는 지배층의 위정을 풍자하는 것이 많았기 때문에, 당대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및 풍자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하원시초(夏園詩鈔)』
『침우당집(枕雨堂集)』
『일사유사(逸士遺事)』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정수동과 정만서』(조능직, 대아출판사, 1978)
『해학소설대전집』2(김용철, 노벨문화사,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