솟을대문 (솟을)

목차
관련 정보
여주 명성황후 생가 솟을대문
여주 명성황후 생가 솟을대문
주생활
개념
가마를 타고 출입할 수 있도록 좌우 행랑보다 높게 설치한 대문.
목차
정의
가마를 타고 출입할 수 있도록 좌우 행랑보다 높게 설치한 대문.
개설

대문은 집에 출입하는 정문을 지칭한다. 궁궐의 경우는 정문을 오문(午門)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정궁은 남향한다는 원칙이 있었기 때문에 대문이 남쪽에 배치된 것에서 기인된 용어이다. 그러나 민가의 대문을 오문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한국의 집은 기능이 다르면 채를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하나의 집에서도 여러 개의 마당이 담장에 의해 구획되고 이 공간들을 옮겨 다니기 위해 많은 문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문 외에도 중문과 협문, 쪽문들이 배치된다. 하지만 대문이 그 집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얼굴이 되는 문이다.

내용

솟을대문은 대문의 여러 형식 중의 하나이다. 대문의 형식은 재료와 규모 및 형태에 따라서 구분되는데, 솟을대문은 양반가의 기와집에서 주로 사용했던 형식이다. 양반집은 대개 외행랑이 갖추어져 있으며 대문은 주로 외행랑에 설치되는데 행랑의 높이대로 대문을 내면 타고 다니는 가마가 걸리기 때문에 대문간 지붕을 높게 만든 것을 솟을대문이라고 한다. 대문은 행랑에 한 칸 정도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때로는 양쪽에 협문을 두어 삼문형식을 갖는 것도 있다. 그러나 삼문형식은 주택에서는 드물고 궁궐이나 향교나 서원 등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이 경우 가운데 칸을 높여 만드는데 이를 솟을삼문이라고 하고 세 칸의 높이가 같을 경우는 평삼문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양반관료들은 주로 가마를 타고 다녔는데, 특히 이 중에서도 종2품 이상이 타는 초헌(軺軒)은 외바퀴가 달린 수레형식의 가마로 보통 6∼9인이 한 조를 이루어 움직였으며, 가마가 높고 바퀴가 달려있어서 솟을대문을 설치하였을 뿐만아니라 바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문턱도 없앴다. 솟을대문은 대개 2짝 판문을 달았고, 문이 높기 때문에 문설주 머리를 좌우를 연결하는 문상방 위로는 공간이 남아 여기에는 홍살로 마감하고 편액을 다는 경우가 많았다.

참고문헌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김왕직, 동녘, 2007)
『한국건축대계4 한국건축사전』(장기인, 보성각, 200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왕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