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양사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회양 정양사 석등
회양 정양사 석등
건축
유적
북한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이형(異形)의 석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이형(異形)의 석등.
내용

구조는 6각의 복련(覆蓮)으로 장식된 지대석, 원형의 간석(竿石), 그리고 앙련(仰蓮)의 6각 화사석[火舍石 :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 받침대를 구비하고 그 위에 화사를 갖추었으며, 화사석 상면의 석등 옥개석 역시 물매가 급격한 6각의 옥개석을 얹고 있다.

옥개석 최상단에는 복발(覆鉢)과 보륜(寶輪) 2개를 갖춘 상륜부(相輪部)를 이루고 있다. 특히, 석등의 간석은 원형이면서 상하간에 고복형(鼓腹形)의 원형받침을 갖추고 있고, 간석 중앙에는 고복형의 원형띠를 돌려 상하를 구분하였다.

화사석은 고려석등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모기둥을 세워 만든 석등이 아니라, 工자형의 석주 6개를 조립하여 자연히 화창(火窓) 6개가 나타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 옥개석도 일반형 석등의 옥개석과는 달리 6각 형태로 경사면을 급하게 처리한 것이 주목된다.

이 석등은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과 같이 고려시대 조성된 이형(異形)의 석등으로서, 대석 중앙에 지름 32㎝, 간석받침 원형공이 있으며, 간석의 높이는 118㎝에 달한다.

참고문헌

『북한의 문화유적 순례』(양태진, 백산출판사, 199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호관(문화재연구소,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