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우참찬, 판의금부사, 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희천(希天)
시호
정간(靖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4년(경종 4)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온양(溫陽)
주요 관직
우참찬|평안도관찰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우참찬, 판의금부사, 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희천(希天). 정순양(鄭純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수연(鄭壽淵)이고, 아버지는 정광은(鄭光殷)이다. 어머니는 김신경(金愼慶)의 딸이다. 아우는 판중추부사 정창순(鄭昌順)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1년(영조 27)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을 거쳐 1753년에 정언이 되었으며, 이후 지평·문학, 호남어사, 교리, 평안도어사, 헌납·수찬·부수찬·부응교·집의·사간 등을 지냈다. 1768년에는 승지에 제수되고, 이듬해 형조참판, 대사간·대사헌까지 지냈다. 정조가 즉위한 뒤에도 한성부의 좌윤·판윤, 예조참판·경기도관찰사, 대사헌, 개성부유수, 판의금부사, 병조·현조·예조의 판서, 의정부의 좌·우참찬, 판의금부사, 평안도관찰사 등 대체로 중앙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763년(영조 39)에 어버이의 병환을 이유로 경출(徑出:숙직 중 교대할 사람과 교대를 하기 전에 물러나감)한 것이 죄가 되어 교리에서 중림찰방(重林察訪)으로 좌천된 것으로 보아 효성이 극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 사학교수(四學敎授)로 재직하면서 노자(老子)와 관련된 제목으로 과제를 낸 죄로 서용되지 않는 법을 적용당하기도 하였다.

이 한가지 사실로 그가 도학에도 심취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그의 학문의 뛰어남은 인정받았다. 그리하여 1781년(정조 5)『세조보감(世祖寶鑑)』 찬집당상으로 열조보감(列朝寶鑑)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이듬해『일성록(日省錄)』을 교정하고, 그 이듬해에는 『국조보감(國朝寶鑑)』감인당상(監印堂上)이 되었다. 1785년에는 『궁원의(宮園儀)』 편교(編校) 당상과 『갱장록(羹墻錄)』속록의 편찬에 참여하는 등 사서의 출판에 크게 공헌하였다.

1790년(정조 14) 평안도관찰사 재직 때 흉년에 백성을 제대로 진휼치 못하고 막료의 말에 현혹되어 정무를 돌보지 못했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또, 막비 윤창문(尹昌文)·김남초(金南楚) 등이 칙사접대비 10만 냥을 유용한 사건의 책임을 물어 중화부(中和府)·운산군(雲山郡)·삭주부(朔州府) 등으로 유배되었다. 1794년에 정간(靖簡)이란 시호를 받았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만가보(萬家譜)』
집필자
임민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