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영신론 ()

목차
관련 정보
제영신론
제영신론
의약학
문헌
1902년 박화진 등이 종두에 관하여 저술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02년 박화진 등이 종두에 관하여 저술한 의서.
내용

1권. 활자본. 내부(內部)위생국(衛生局)에서 간행하였다. 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자의 한 사람이며 함경북도 종두위원(種痘委員)인 이현유의 서(序)에 의하면, 1881년(고종 18)에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 가서 종두법을 배우고자 하였다. 그러나 언어의 불통으로 여의치 못하여 다시 청나라 길림성(吉林省)의 우두관(牛痘館)에서 종두법을 학습한 뒤에 종두의 기계와 약을 가지고 본국으로 돌아와 종두를 실시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우리나라의 우두종법의 수입은 지석영(池錫永)을 중심으로 일본에서 전해온 것 이외에 청나라로부터 전해오기도 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김두종, 탐구당, 197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