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어사전 ()

조선고어사전
조선고어사전
언어·문자
문헌
1949년 정희준이 우리말 고어와 이두 등을 풀이한 사전. 고어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49년 정희준이 우리말 고어와 이두 등을 풀이한 사전. 고어사전.
내용

B6판. 512면. 1949년 동방문화사(東邦文化社)에서 간행하였다. 표지 등에 표제명이 ‘옛말옛일 이두옛책 조선고어사전’이라고 하였으며, 내제명은 ‘조선고어사전부국문고서약지(朝鮮古語辭典附國文古書略誌)’로 되어 있다.

1955년 5월 국어학자 유창균이 초판본의 체재를 그대로 유지한 채 순우리말 어휘를 추가하여 『고어사전(古語辭典)』으로 제목을 바꾸어 동국문화사에서 B6판, 686면으로 증보, 재판하였다.

이 책의 구성은 목차, 정열모(鄭烈模)의 서문, 저자의 자서, 교정을 마치며, 일러두기, 제1부 본문, 제2부 이두, 부록 국문고서약지의 도표 순서로 되어 있다.

제1부 본문은 표제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말 고어와 고사 · 고제도들의 기본어에 기타 특수어를 더하여 6,300여 항목으로 엮었는데, 우리말 고어에는 간략한 설명을 달고 그 예문에 출전을 약호로 들고 있으나 그 밖의 어휘에는 예문과 출전이 없고 설명만 있다.

이 책이 전문가용으로보다 대중용으로 목표를 삼고 있기 때문에 인용예문 중 초학자에게 어려운 것은 다시 ‘…’ 뒤에 설명을 붙이고 있으며, 인쇄의 편의상 출전의 권수 · 면수와 사성점을 생략하고,ᄒᆞ다’형 어휘의 ‘ᄒᆞ-’는 모두 ‘하-’로 하고 있다.

표제어는 대체로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로 분리시켜 등재하고 있는데, 문법체계는 최현배(崔鉉培)의 것을 따르고 있지만 문법용어는 명사 · 지정사 등의 한자어계를 택하고 있다. 앞머리에는 자음순의 찾기가 붙어 있다.

제2부 이두는 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펴낸 『이두집성(吏讀集成)』의 것을, 첫머리 글자의 획수 차례로 하여 사서체형식을 취하여 우리말로 풀이한 것으로서, 1,670여 항목으로 된 이두의 음과 뜻만 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형태분석은 하지 않았다. 앞부분에는 일러두기와 획수별로 된 찾기가 붙어 있다.

부록은 제1부 본문에 나오는 출전약호를 알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작성하였는데, 연대순으로 국문문헌을 정리하여 표해하였다. 앞머리에는 일러두기, 종별의 찾기, 이조 중의 중국연호가 붙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사전은 방종현(方鍾鉉)의 『고어재료사전(古語材料辭典)』(전집 1946, 후집 1947), 정태진(鄭泰鎭) · 김병제의 『조선고어방언사전』(1948), 이상춘(李常春, 1953년 재판될 때 그 아들 영철의 이름으로 됨.)의 『조선 옛말사전』(1949)과 더불어, 광복 후 시급해진 고전교육과 관련하여 국어사료 주석의 일환으로 쏟아져 나온 초기 사서류 가운데 하나라는 점에 그 사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국학연구논저총람』(국학연구론저총람간행회, 을유문화사, 1960)
『신국어학사』(김민수, 일조각, 198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