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노동연구회 ()

목차
근대사
단체
1920년 서울에서 조직된 노동운동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0년 서울에서 조직된 노동운동단체.
연원 및 변천

1919년 3·1운동 이후 일제의 대한국 식민정책은 이간 책동이 중심이 되었던 고등경찰정책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20년대 초에 『조선일보』·『동아일보』·『시대일보』의 3개 민간 신문이 허가되어 간행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지식인들은 세력 형성을 위한 노동조합이나 그 연구를 위한 조직체의 결성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였다. 이에 찬성한 지식인들이 당시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던 각종 노동자 조직을 결합하는 운동에 앞장서게 되었다.

전국적 노동자 조직을 결성하는 데 앞장선 인물은 1919년 서울에서 이 운동에 종사하던 박중화(朴重華)·오상근(吳詳根)·박이규(朴珥圭) 등 10여 명이었다. 이들은 1920년 9월 말경 서울 천도교강당에서 이 단체를 정식으로 발족시켰다. 일제하 노동자들의 권익 옹호를 비롯해 노동 시간과 노동 조건, 임금의 개선을 주된 목적으로 하면서, 이를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당국에 건의해 실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정책 방향이자 강령으로 표방하였다.

이들 10여 명은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노동자 조직을 총망라한다면 커다란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이를 더욱 깊이 연구하였다. 즉 조선 노동자들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모아 회원으로 포섭, 집결시켜 활용한다면 노동자들의 권익 옹호와 배일 투쟁에 효과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제를 연구한 결과, 1920년 서울에서 150여 명 규모의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를 조직하였다. 그 후에도 노동자들의 권익 옹호와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1945년까지 일제와 부단히 타협과 투쟁을 전개하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

참고문헌

『일제하(日帝下)의 민족운동사(民族運動史)』(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76)
『공제(共濟)』창간호(조선노동공제회, 1920)
「朝鮮社會運動小史」(裵成龍, 『朝鮮思想通信』, 1929)
『동아일보(東亞日報)』
『조선일보(朝鮮日報)』
『現代史資料』 25·26(姜德相 編, みすず書房, 1977)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