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노동청년동맹 ()

목차
근대사
단체
1925년경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청년노동운동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5년경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청년노동운동단체.
내용

언제 조직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1925년 전일 것으로 보인다. 1925년 3월 8일 재경조선해방운동자단체연합회간친회(在京朝鮮解放運動者團體聯合會懇親會)에 참석한 11개 단체 중의 하나였다.

이 때 서울 청년회관에서 개최한 23명의 11개 단체 대표 중의 한 사람으로 김진탁(金振鐸)을 파견하였다. 김진탁은 조선청년들의 공산주의운동을 고무, 선동함과 동시에 항일투쟁에도 일조가 되어야 함을 150명의 동맹원에게 역설하였고 서울청년회의 대표 기노춘(奇老春), 조선노동대회(朝鮮勞動大會)의 대표 장채주(張彩柱) 등 20여명과 연합, 공산항일투쟁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김진탁 대표는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을 조직함에 있어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따라서, 이 동맹은 조선공산당을 조직, 항일투쟁과 이념 조직확대를 위하여 기간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治安槪況』(京畿道警察部, 1928)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