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농우연맹 ()

목차
근대사
단체
1920년대 수원고등농림학교(水原高等農林學校 : 지금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전신) 학생들의 비밀결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0년대 수원고등농림학교(水原高等農林學校 : 지금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전신) 학생들의 비밀결사.
내용

수원고등농림학교 한국인 학생 김성원(金聲遠)·김찬도(金燦道) 등 10여 명이 1926년 전후에 건아단(健兒團)을 조직하고 동료학생 육동백(陸東白)·김익수(金益洙)·황봉선(黃鳳善)·김민찬(金玟贊)·남영희(南榮熙)·고재천(高在千)·권영선(權榮善)·우종휘(禹鍾徽)·김봉일(金奉日)·백세기(白世基) 등 20여 명을 권유, 규합하였다.

농민대중을 계몽하여 신사회를 건설하며 잘사는 이상적 농촌 실현을 목표로 삼은 이 단체는 1928년 가을에 계림농흥사(鷄林農興社)로 개칭하였다가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다시 조선개척사(朝鮮開拓社)로 위장, 개편하였다. 그러나 그 기본 조직체는 이 연맹이며, 연맹원들도 그러한 자격으로 활동하였다. 즉 건아단·계림농흥사·조선개척사는 동일 단체의 변형으로 회원 50명 전원이 이 연맹에 가입, 활동하였다. 이들은 야학을 설치, 운영하였으며, 단군기원을 사용하여 주체성을 강력히 나타냈다.

계몽·교양과 독립운동을 목표로 한 연맹은 원래 수원고등농림학교 기숙사의 ‘조선인학생간담회’에서부터 조직적으로 발전한 비밀결사였다. 건아단 출신의 주동자 김성원이 김해농업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독립활동을 전개하던 중 일본경찰에 붙잡혀 조직이 발각되면서 1928년 10월 초에 자연 해체되었다.

참고문헌

『한민족광부투쟁사』(이현희, 정음문화사, 1990)
『한국근대민족주의운동사연구』(역사학회, 일조각, 1987)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