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학연구회 ()

언어·문자
단체
1931년 국어학의 연구와 한글맞춤법의 정리를 목적으로 박승빈(朴勝彬)이 조직한 학술단체.
정의
1931년 국어학의 연구와 한글맞춤법의 정리를 목적으로 박승빈(朴勝彬)이 조직한 학술단체.
개설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 주최로 박승빈의 조선어학 강습이 12일간 개최되었다. 이 강습이 끝나던 11월 28일 국어학의 연구기관을 두자는 중론이 있어, 참석인사 20여명의 결의로 ‘조선어학연구회’(가칭)의 창립준비위원 및 규칙기초위원을 선정하였다.

이해 12월 5일 창립준비위원회를 개최하여 의정 토의를 거쳐, 12월 10일 창립총회를 열어 규칙을 통과시키고 간사장에 이긍종(李肯鍾), 간사에 백남규(白南奎)·신남철(申南澈)·문시혁(文時爀)·정규창(鄭圭昌) 등 5명을 선출하여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설립목적

이 회는 1930년대 언어·문자를 통한 민족문화계승을 내세워 활동한 조선어학회와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나온 단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래의 설립동기는 조선어학회에서 추진하던 국어표기법통일안에 대한 반대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조직된 것이었다.

기능과 역할

그리하여 1933년 10월 29일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정식으로 발표되자 이에 대한 박승빈학설의 이론적 주장과 그 반대운동을 조직화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1934년 2월 15일자로 기관지 ≪정음 正音≫을 발행하는 한편, 이 해 6월 27일에는 ‘조선문기사정리기성회(朝鮮文記寫整理期成會)’를 조직하였고, 7월에 ‘한글맞춤법통일안 반대성명서’를 발표하여 조선어학회와 정면으로 맞서게 되었다.

이러한 조선어학연구회가 지향한 목적과 내용은 1932년 9월에 발표된 ‘조선어학연구회 취지서’(1934년 2월 ≪정음≫ 창간호에 실림.)에 잘 드러나 있다. 이 취지서에서 언문의 기사법은 과학적으로 논리가 명확하고 체계가 정연하여야 하며, 종래 관용되어온 역사적 제도에 근거하여야 하고, 대중이 일상생활에 실용함에 평이하여야 한다는 이른바 정서법(正書法)의 세 가지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러한 다음 한글파 학설을 비판하였는데, 한글파 학설에는 ① 과학적 진리에 어긋아는 억지로 맞추려는 환상적 논법이 있고, ② 역사상의 기초적 제도를 몰각한 망령된 것이 있고, ③ 어음(語音)과 부합되지 아니하는 기사의 독점적 강요가 있고, ④ 발음이 안 되는 기형문자의 사용이 있고, ⑤ 국부적 관찰에 얽매여 전체에 통하지 못하는 편견적 견해가 있다고 지적한 뒤, 박승빈학설에 따른 맞춤법이 보다 더 대중적 실용성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이 회는 주시경학파(周時經學派)의 집결로 조직된 조선어학회와 대립하여 박승빈학설을 기초로 한 새로운 문자운동의 추진체가 되었다.

그러나 조선어학연구회에서 전개한 <한글맞춤법통일안> 반대운동은 이 회가 내세운 철자법이 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정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과 비슷하여 보수적 구식표기의 인상을 주었다.

더구나 근거가 박약한 새 부호 등의 사용을 주장하는 면에서 언론과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고질적·파쟁적 전술이라는 일반사회의 비난 속에 한글통일운동을 교란하는 인상을 주어, 이 회가 내세운 신문자운동은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의의와 평가

그러나 기관지 ≪정음≫을 꾸준히 속간하여, 1941년 4월 26일자 제37호로 폐간되기까지 약 10년 동안 국어연구와 연구기반의 조성에 이바지하였다.

그리고 출간되지는 않았지만 일제 초기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주시경·권덕규(權悳奎)·이규영(李奎榮) 등이 편찬하기 시작한 ≪조선어사전≫의 원고를 계명구락부를 거쳐 인수하여 계속한 점 등은 민족문화계승에 공헌한 것으로서 민족항쟁사에 큰 의의를 가진다.

참고문헌

『정음(正音)』(영인본 3책, 반도문화사, 1978)
「일제하의 국어운동연구」(박병채, 『일제하의 문화운동사』, 민중서관, 197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