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3층 석조 불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聞慶 道川寺址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6년 11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북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운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3층 석조 불탑.
내용

197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5.3m. 대웅전 앞에 있는 2기의 문경 도천사지 동·서 삼층석탑(보물, 1976년 지정)과 함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북방 금강가의 옛 도천사지(道川寺址)에서 옮겨온 것으로, 강변을 향하여 나란히 건립되어 있던 3기 중의 하나이다.

도천사의 사찰 연혁은 미상이나 석탑의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는 이미 사찰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석탑의 형식은 단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형성하였다. 지대석의 기단 면석받침은 2단이며 기단은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함께 각 면 탱주(撑柱 : 받침기둥) 1주를 모각(模刻)하고 2구로 구분하였다.

갑석은 부연(副椽)이 있어 2단으로 나타냈으며,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석은 모두 별석이다. 옥신석에는 각 층 우주를 나타낸 것이 일반 석탑에서와 동일하다. 초층옥신은 다소 고준한 편이며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각 층 5단이다.

추녀 아래 부분은 거의 수평이고 전각에 반전을 다소 나타내고 있다. 상륜부는 대웅전 앞 석탑에서와 같이 전부 새로 제작되었다. 석탑의 기단 둘레의 난간 역시 대웅전 석탑과 같이 신라시대의 석조 난간을 본떠서 다시 조성하였다.

이들 석탑의 형식은 문경내화리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단에 변화를 나타내는 지역적인 한 변상으로 이해된다. 옥개석의 건실한 조형양식이라든지 각 부의 수법으로 보아 9세기 전반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문화재대관』-보물 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충식(동국대학교, 미술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