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인천(仁川). 초명은 무역(無斁). 자는 언성(彦誠). 채신보(蔡申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채연(蔡年)이고, 아버지는 채준(蔡浚)이며, 어머니는 김여영(金麗英)의 딸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부교리·장령·응교 등을 거쳐 1535년 대사간, 그리고 이듬해 부제학이 되었다.
재임 중 당시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당여(黨與)가 되어 많은 사람들을 무고하여 화를 입히고, 또한 조정의 상하 신하들까지 이간시키는 등 분규를 일으킴이 심하여 김안로·허항(許沆)과 함께 3흉(凶)으로 일컬어질 정도였다. 김안로·허항과 함께 1537년 문정왕후(文定王后) 폐위를 모의하다가 유배되어 사사(賜死)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