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환재적가 ()

고전시가
작품
1870년(고종 7) 채구연(蔡龜淵)이 지은 유배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70년(고종 7) 채구연(蔡龜淵)이 지은 유배가사.
구성 및 형식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433행에 이르는 장편가사이다.

내용

첫머리가 “어호 친구네야 팔자타령 드러보소 해배한지 두달 만의 두번구양 무삼일고”로 시작되는 이 작품은 1863년(철종 14)에 고석현(高奭鉉)의 모함에 빠져 당돌히 상소를 올렸다가 신지도(薪智島)로 유배되어 약 1년간을 지낸 뒤에 고종 즉위로 해배되어 여주(驪州) 생가에서 머무는데, 다시 같은 곳으로 정배되어 신지도에 이르러 가지가지 고생하는 이야기들을 자탄(自嘆)으로 표현한 것이다.

맨끝에는 “획죄우쳔 무소도은 모르는게 아니언만 압압히 말못ᄒᆞ고 식ᄌᆞ우환 진졍ᄒᆞᄂᆡ”로 끝맺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섬지방의 귀양살이가 얼마나 어려웠었나를 실감시켜 주는 점과 당시의 섬지방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원래 이 작품은 천안의 장씨가 소유하고 있는 원본의 복사물을 김영수(金榮洙)가 학계에 처음 보고하여 알려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유배가연구」(이재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채환재적가」(김영수, 『한국학보』46, 일지사,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