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보살사 석조 이존병립여래상 ( )

목차
관련 정보
청주 보살사 석조이존병립여래상
청주 보살사 석조이존병립여래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보살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조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주 보살사 석조이불병립상(淸州 菩薩寺 石造二佛竝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6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낙가산로 168 (용암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보살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조 불상.
내용

두 불상의 전반적인 비례를 보면 모두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삼화령 미륵삼존불상 중의 좌 · 우 협시 보살상이 지닌 어린아이형 비례를 따르고 있는데, 그래서인지 이들이 지니는 인상도 앳되고 친근하다. 머리카락은 나발이며 육계는 넓고 낮게 표현되었다. 지그시 감은 두 눈과 긴 코, 아담한 입술이 묘사되어 있는데, 향좌측 불상의 미소가 더욱 강하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가사는 통견(通肩)인데 양어깨에서 마치 목걸이를 걸친 듯 넓은 옷깃이 둥글게 흘러내려 온다. 그 사이로 노출된 가슴은 특별한 양감이 느껴지지 않지만 향우측 보살상의 경우 가운데 희미하게 가슴골을 새겨넣어 약간의 굴곡을 주고 있다. 두 불상의 수인은 동일하나 좌우대칭으로 바뀐 모습이다. 바깥쪽 손의 손바닥을 가슴 앞 옷깃 끝 선에 맞게 들어 정면을 향하게 시무외인(施無畏印)을 결하였고, 안쪽 손은 배 앞에 두어 마치 허리띠를 잡고 있는 듯한 손 모양을 하고 있는데 손가락의 움직임을 정교하다. 허리 아래로 내려오는 가사는 두 다리 위로 각각 밀착되어 흐르다가 무릎 쪽으로 내려오면서 ‘W’자 모양의 옷 주름을 만들며 두 다리의 윤곽선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옷자락은 다시 그 아래로 흐르는데 ‘U’자형으로 두 다리를 감싸며 마무리되고 있다. 하의는 두 다리가 서로 구분되게 표현하였고 그 끝에 희미하게 발가락이 묘사된 두 발이 보인다.

불상의 양식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통에 충실한 편이지만, 다소 경직되게 묘사되어 있고 소맷자락은 마치 저고리를 입은 것처럼 표현되어 있어 시대적인 변화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제작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특징

두 불상을 나란히 조성한 것은 흔히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견보탑품(見寶塔品)」에 나오는 석가와 다보 두 부처의 만남을 묘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대체로 불상을 좌상 형식으로 조각하였는데, 보살사의 이존불상은 입상으로 표현되어 있어 주목된다. 백제 시대에 조성된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2004년 지정)의 경우 2존의 불상이 병립한 점은 공통적이나, 중앙에 작게 보살입상을 조성한 점에서 차이가 난다. 또한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보물, 1987년 지정)의 경우 현재 이불병립의 모습이기는 하지만, 크기에 차이가 있어 삼존불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보살사 상의 경우 현재까지 알려진 국내 유일의 이불병립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한 해석은 없으나 중국 둔황 막고굴 제237굴에 ‘석가순성행화상(釋迦巡城行化像)’이란 이름으로 두 불상이 나란히 묘사된 벽화가 있어 참고가 될 수 있다. 이 벽화는 현장이 인도에서 돌아올 때 가져온 7구의 도상 중 하나로 이존 병립상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도 한다. 한편 중국에서는 특히 남북조 시대에 하북성 곡양 지역에서 백옥으로 만든 이불병립상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보살사 불상처럼 두 상이 서로 붙어 있는 것은 매우 특이한 것으로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병립상 정도가 유사 계통으로서 비교해볼 수 있는 정도이다. 다만 마애불은 바위의 특성을 고려해 두 불상을 함께 조각했을 여지가 있지만, 보살사 불상의 경우는 이러한 여건과는 상관없어 두 불상을 붙여서 표현한 또 다른 목적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1970년에 보살사 뒤쪽 경내에서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하나의 광배 안에 두 불상이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을 묘사한 매우 특이한 작품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이존병립여래상으로 그 조성배경 등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상(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주수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